제현정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단장은 무역협회 주최로 17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통상전략 2020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하고 “한국은 대(對)중국 수출 비중이 높아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제 단장은 “무역협회가 화두로 던지는 것은 미중 분쟁이 이제 시작이라는 것”이라며 “앞으로 미중 분쟁은 단기 리스크가 아니다. 우리가 여기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는지 고민할 때”라고 말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대중국 수출 기업은 전체 수출 기업의 34.1%를 차지하고 있다. 또 그 중 53.8%는 중국 수출 비중이 50%를 넘는 상황이다. 즉 중국의 상황에 따라 국내 경제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주식격언과 궤를 같이한다..
제 단당은 “중국은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한 시장이지만 다변화가 필요하다”면서 “다만 신남방 3개국인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하이리스크에도 유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현정 무역협회 통상지원단장이 '통상전략 2020'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무역협회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