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31일 국회에서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예방을 받고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 및 일본의 대한(對韓) 수출규제 강화 조치 대응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김 실장은 이날 심 대표에게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 기조의 흔들림은 없다고 자신있게 말하겠다"면서 "목표는 일관되게 유지하고, 수단 측면에서 조금 더 열어놓고 검토하는 그런 정도"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최근에 굉장히 약화한 노동관계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인내심을 갖고 대화를 이어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일본의 수출규제 대응책으로 중점 추진 중인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과 관련해선 "혹시 일본이 화이트리스트 배제를 각의에서 결정한다면, 정부가 다각도로 준비해 왔던 내용을 자세하게 국회와 국민께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31/20190731165611962465.jpg)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31일 오후 국회에서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예방을 받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심 대표는 "소득주도성장과 혁신경제 집행 과정에서 여러 패착이 있고, 결국은 대기업 성장전략으로 회귀한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어 "노동존중사회를 표방했지만 정부가 추진했던 정책들이 다 줬다가 뺏는 식으로 돌아가다 보니 노동계도 원망이 크다"며 "반도체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도 필요하면 해준다 해도, 기업이 책임질 일은 무엇인지 그 점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정부가 급한 김에 재계 요구를 무분별하게 들어준 것 아니냐는 오해를 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심 대표는 또 "단적으로 문재인 정부 재벌편향이 강해졌다고 지적할 수 있는 대목은 삼성·현대에 대한 지원"이라면서 "삼성이 비메모리 반도체에 돈이 없어서 투자를 안 하는 게 아니다. 눈앞 이익에 급급해 중장기 투자를 안 했는데 정부가 23조원씩이나 지원한다고 한다"고 쓴소리를 냈다.
한편, 김 실장은 이날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도 예방했다.
김 실장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전화위복의 계기라고 생각한다"면서 "단기적 어려움이 없지 않겠지만, 그것을 극복한다면 오히려 한국 산업구조의 체질을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겠냐는 각오로 일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이에 정 대표는 "우리가 여기까지 오는데 공업교육, 기술교육이 큰 몫을 했다. 지금 (이 분야 교육의) 사회·경제적 위상이 굉장히 낮아졌는데, 근본적으로 한 번 변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더불어 "이 정부가 개혁정부라는 이름을 역사에 남겨야 하지 않느냐"면서 "제도를 바꾸고, 법을 바꿔야 개혁인데 그 점에서는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31/20190731165816223004.jpg)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왼쪽)과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