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힘입어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일자리가 늘어났다. 주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근로자도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해 여전히 '일자리 착시효과'라는 비판도 나온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분기(2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1824만8000개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0만3000개 늘었다.
전년 동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 1235만4000개(67.7%),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 307만2000개(16.8%),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 282만3000개(15.5%),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 232만개(12.7%) 순이다.
늘어난 일자리 가운데 60대에서 늘어난 일자리는 56.1%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50대도 37.2%에 달해 50·60대 통틀어 93.2%에 이르렀다. 늘어난 일자리가 중·고령자에게 집중됐다는 분석이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와 도소매에서 각각 17만3000개, 8만6000개씩 늘었다.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3만개가 늘었고 보건업에서도 4만2000개가 증가했다.
이와 달리, 건설업은 5만6000개나 줄었다. 전문직별 공사업에서 5만4000개 줄었고 종합건설업에서도 2000개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에는 적용되지 않았던 초단시간 근로자 역시 일자리 통계에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고용부에 따르면, 주 15시간 근무하는 초단시간 근로자(월 60시간 미만)는 지난해 7월 3일 자로 생업 아니더라도 3개월 근무를 지속하게 되면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됐다. 초단기 '알바' 역시 임금 근로자에 포함됐다는 얘기다.
이번 임금 근로 일자리가 늘어난 데는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시장 수요가 늘어난 요인도 있으나 전반적으로 정부의 일자리 정책 등 제도 효과에 의존한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임금 근로 일자리가 늘어난 데는 도소매 생산이 늘어났고 정부가 일자리안정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제도를 완화하는 등 정책적인 요인도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민간 경제연구원 한 관계자는 "보건·사회 분야의 고령자에 대한 단기 일자리를 확충했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밖에 없다"며 "경제의 허리라고 할 수 있는 40대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어줘야 경기 부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9/26/20190926112743933712.jpg)
한 취업박람회 행사장에 구직자들의 취업희망 메시지가 적힌 쪽지가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