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이 담긴 '대규모 유통업 분야 특약매입 거래에 관한 부당성 심사지침(특약매입 지침)'을 제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가격할인분도 판촉비로 간주하는 부분이나 판매 수수료율 조정 필요성 등 기존 지침에서 보완된 부분은 유통업계 의견을 반영해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이번 지침은 지난 30일자로 일몰 폐지된 기존 지침을 보완해 다시 제정한 것이다. 2014년 7월 마련된 기존 지침은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의 특약매입 비중이 큰 상황을 고려해 대형업체가 판매촉진 비용(판촉비)을 입점업체들에 떠넘기지 못하게 막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현행 대규모 유통업법 11조에 따르면 대형 유통업체와 입점업체 간 판촉비 분담 비율을 예상 이익 비율에 따라 정하되 입점업체의 분담 비율이 최대 5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정위는 새 지침에서 대형 유통업체가 최소 50% 이상의 비용을 부담하도록 한 공동 판촉 행사의 비용분담 원칙을 가격할인 행사에 적용해 구체화했다.
우선 판결과 심결 사례 등을 근거로 가격 할인분도 법상 판촉비에 포함한다고 보고, 세일을 진행할 때 가격할인분 등 판촉비의 절반 이상을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가 부담하게 했다.
하지만 대형 유통업체의 요청 없이 입점업체 스스로 재고 처리 등을 이유로 스스로 할인 행사를 할 경우 대규모 유통업법상 자발성 원칙에 해당한다고 보고 백화점 부담 비용이 적어지게 된다.
다만 외형상 입점업체가 백화점 등에 보낸 세일 요청 공문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자발적이라고 판단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다. 입점 과정에서의 불이익 등 간접적인 방법으로 입점업체에 압력을 가해 실질적으로는 백화점이 주도한 강제 세일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새 지침은 세일 시 발생하는 입점업체의 비용을 제대로 분담하려면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가 입점업체로부터 받는 판매 수수료율을 충분히 낮춰야 한다는 점도 명시했다.

[백화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