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올해부터 2020년 말까지 전국 특수학교(일반학교 특수학급) 100여개, 1000여명의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행복코딩스쿨)을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장애청소년 ‘행복코딩스쿨’ 교육과정은 알버트 로봇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을 받는 10주 기초과정과, 개인 및 팀단위의 코딩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심화과정(ICT메이커톤, 심화캠프)으로 구성됐다.
SK텔레콤은 교육품질과 수준 높은 수업진행을 위해 코딩 전문강사 300여명을 직접 학교로 파견해 수업을 진행한다. 올해에 진행 중인 ‘행복 코딩스쿨’은 40개교 모집에 특수학교(급) 132개교가 신청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1/07/20191107095101360620.jpeg)
수원 소재 자혜학교에서 학생들이 코딩스쿨 수업을 받고 있는 모습.[사진= SKT 제공]
이번 장애청소년 ‘행복 코딩스쿨’은 노사합의에 따라 SK텔레콤 임직원들이 기본급 인상분의 30%를 내고, 사측에서 같은 수준의 금액을 출연, 매년 30억원의 재원을 마련해 진행하는 사업 중 하나다.
소프트웨어교육혁신센터 이원주 센터장은 “특수학교 교사의 자문을 직접 받아 장애 유형의 특징을 반영해 교재를 개발했다”며 “코딩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인지능력, 문제해결 능력 및 성취감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SK텔레콤 이준호 SV 추진그룹장은 “행복 코딩스쿨을 통해 장애 청소년이 ICT 교육 기회에서 차별 받지 않고,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숨겨진 재능을 발굴, 훌륭한 인재로 커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