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협의체’가 17일 만나 공직선거법 개정안의 단일안 마련을 위한 최종 담판을 한다.
각 정당에 따르면 이날 오후 9시께 이인영 민주당·윤소하 정의당·조배숙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의원, 유성엽 대안신당 창당준비위원장이 비공개 회동을 할 예정이다.
비공개 회동에서는 민주당과 정의당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는 석패율제 도입 여부와 연동률 캡(상한선)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석패율제의 대안으로 거론되는 이른바 ‘이중등록제’ 도입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심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본관 앞 농성장에서 개최한 의원총회에서 “더불어민주당에게 마지막으로 촉구한다”면서 “오늘 오전 중에 4+1 공식 협상 개최를 요구한다”이라고 밝혔다.
당초 민주당은 심 대표의 협상 제안을 받아들여 비공개 접촉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춘숙 원내대변인은 원내대표단-상임위간사단 연석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 공개적인 회의 일정이 전달되지는 않았는데 아마 비공개로 만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국회 본회의 상정이 초읽기에 들어가는 듯했던 선거법 단일안 협상은 이 같은 이견으로 중단된 상태다.
각 정당에 따르면 이날 오후 9시께 이인영 민주당·윤소하 정의당·조배숙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의원, 유성엽 대안신당 창당준비위원장이 비공개 회동을 할 예정이다.
비공개 회동에서는 민주당과 정의당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는 석패율제 도입 여부와 연동률 캡(상한선) 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석패율제의 대안으로 거론되는 이른바 ‘이중등록제’ 도입 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당초 민주당은 심 대표의 협상 제안을 받아들여 비공개 접촉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춘숙 원내대변인은 원내대표단-상임위간사단 연석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 공개적인 회의 일정이 전달되지는 않았는데 아마 비공개로 만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국회 본회의 상정이 초읽기에 들어가는 듯했던 선거법 단일안 협상은 이 같은 이견으로 중단된 상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17/20191217170841770331.jpg)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7일 국회 본관 앞 농성장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정미, 심상정, 윤소하 의원.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