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24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北京)과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진행된 한·중, 한·일 정상회담에서 외교적 결례가 발생해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우리 정부 측은 한·일 정상회담에서 있었던 상황에 대해 일본 측에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외교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일본 측에 이야기를 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본도 ‘왜 이렇게 된 것이지’라는 반응을 보이며 파악해서 알려주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4일 청두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문 대통령의 모두 발언이 이어지던 중 일본 측 관계자가 “기자단은 나가달라”는 취지의 말을 하며 문 대통령의 말을 끊는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상생 번영의 동반자이고, 잠시 불편할 수는 있어도 결코 멀어질 수 없는 사이”라는 발언을 앞둔 상황이었지만, 일본 측 관계자의 행동에 놀라 발언을 잠시 중단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외교채널을 통해 유감을 표명했고, 일본 측은 1차적으로 의도적·계획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는 해명한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일본은 ‘해명할 부분에 대해선 파악한 뒤 알려주겠다’라는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한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 정부의 유감 표명이 ‘항의’의 성격이었느냐는 질문에 외교부 관계자는 “유감을 표명했다”고 답했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직접 항의와 일본의 사과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또 지난 23일(현지시간) 한·중 정상회담 이후 문 대통령이 ‘홍콩·신장 위구르는 중국 내정’이라는 발언을 했다는 중국 매체의 보도에 대해선 아직 우리 측 입장을 전달하지 않은 듯하다.
외교부 관계자는 “그와 같은 중국 측의 언급이 있었고, 우리는 들었다는 취지로 언급했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며 “적절한 시점에 우리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에 대해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내정문제라는 점을 설명했고, 문 대통령은 시 주석 언급을 잘 들었다는 취지로 답했던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26일 외교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정부가 일본 측에 이야기를 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본도 ‘왜 이렇게 된 것이지’라는 반응을 보이며 파악해서 알려주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4일 청두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문 대통령의 모두 발언이 이어지던 중 일본 측 관계자가 “기자단은 나가달라”는 취지의 말을 하며 문 대통령의 말을 끊는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상생 번영의 동반자이고, 잠시 불편할 수는 있어도 결코 멀어질 수 없는 사이”라는 발언을 앞둔 상황이었지만, 일본 측 관계자의 행동에 놀라 발언을 잠시 중단했다.
우리 정부의 유감 표명이 ‘항의’의 성격이었느냐는 질문에 외교부 관계자는 “유감을 표명했다”고 답했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직접 항의와 일본의 사과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또 지난 23일(현지시간) 한·중 정상회담 이후 문 대통령이 ‘홍콩·신장 위구르는 중국 내정’이라는 발언을 했다는 중국 매체의 보도에 대해선 아직 우리 측 입장을 전달하지 않은 듯하다.
외교부 관계자는 “그와 같은 중국 측의 언급이 있었고, 우리는 들었다는 취지로 언급했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며 “적절한 시점에 우리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에 대해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내정문제라는 점을 설명했고, 문 대통령은 시 주석 언급을 잘 들었다는 취지로 답했던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26/20191226161048415634.jpg)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