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종합] 정의용 "'北 원전 논란' 매우 비상식적...USB 받은 美도 긍정 반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경은 기자
입력 2021-02-02 18: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정 후보자, 2일 퇴근길 인터뷰 자청

  • "美에 한반도 신경제구상 취지 설명"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 사무실 로비에서 '북한 원전 추진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북한과의 대화에서 원전 문제를 전혀 거론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날 오후 퇴근길,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 사무실 로비에서 취재진들과 만나 최근 제기된 정부의 북한 원전 건설 지원 의혹과 대해 "매우 비상식적인 논리의 비약"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주요 정책 사항과 관련해 특별히 할 얘기가 있다"며 외교부 출입기자단의 취재를 자처했다.

정 후보자는 "최근 북한 원전 지원 문제와 관련해 국내에서의 논란이 상당히 엉뚱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정부가 북한에 대해 원전을 지원하기로 하는 방향을 검토했단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 상황에서 그 어떤 나라도 북한에 원전을 제공할 수 없다"며 "우리 정부 또한 북한에 대한 원전 제공 문제를 내부적으로 검토조차 안 했다"고 피력했다.

정 후보자는 "정부 차원은 물론이고, 특히 청와대와 NSC(국가안전보장회의) 차원에서 전혀 검토하지 않았다"며 "물론 북한과의 대화 과정에서도 원전 문제를 전혀 거론하지 않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 후보자는 지난 2018년 4·27 판문점 정상회담 전후로 북한과 미국에 한반도 신경제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이동저장장치(USB)를 모두 전달했다며, 미국 역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해당 USB에) 동해 및 서해, 또 접경지역 경제 벨트를 중심으로 남북 간 경제 협력 구상을 담았다. 여러 구상 중 하나가 에너지 및 전력 분야"라면서 △ 신재생에너지 협력 △ 북한 수력·화력 발전소 재보수 사업 △ 몽골 포함 동북아 지역 수퍼그리드망(대륙·국가 간 전력망) 확충 등 내용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원전은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면서 정부가 미국과도 이런 내용을 충분히 공유했다고 전했다.

그는 "판문점 정상회담을 앞두고, 또 그 이후 제가 세 차례 미국을 방문해서 존 볼턴 전 보좌관과 이런 한반도 신경제 구상 내용에 대해 설명했다"며 "특히 판문점 회담 끝난 직후에 워싱턴을 방문해서 북한에 제공한 동일 내용의 USB를 미국에 제공했다"고 재차 밝혔다.

정 후보자는 또 "(미국에) 신한반도경제구상의 취지가 무엇인지 설명했다"며 "이것은 한반도 비핵화가 상당히 진전이 있을 경우 남북 간 경협(경제협력)의 비전(미래 구상)을 제시하는 목적의 자료였다는 점을 설명했다"고 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 사무실 로비에서 '북한 원전 추진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나아가 미국 역시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정 후보자는 설명했다.

그는 또 "이후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미국도 우리가 제공한 것과 유사한 내용의 동영상을 제작해서 아이패드로 북측에 보였다"며 "최근 논란이 된 것은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또한 북한에 원전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 5가지 조건에 대해 설명하며 "우선, 한반도 비핵화 협상이 사실상 마무리돼야 한다"고 일축했다.

아울러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해제돼야 한다"며 "북한이 비핵 국가로서 NPT(핵확산방지조약)에 복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이 IAEA(국제원자력기구)와 세이프가드 협정(긴급수입제한조치)을 별도로 체결해야 한다. 끝으로 북한에 원전을 제공하는 나라와 별도의 양자 원자력 협력을 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 후보자는 "가령 우리가 제공하는 원전에 미국 부품이 있으면 미국과도 별도의 원자력 협력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 후보자는 "이렇게 전혀 불가능한 상황에서 정부가 이것(대북 원전 건설 지원)을 검토한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점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주장했다.

앞서 국내 일부 언론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위원장과 지난 2018년 '도보다리 회담' 당시 '발전소 USB'를 건넸다고 보도하며, USB에 북한 원전 건설 관련 내용이 담겼을지 모른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야당은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건넨 '한반도 신경제 구상 USB'를 공개하라고 압박하며 연일 공세를 퍼붓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