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기차 배터리를 외부 전력 공급용으로 활용하는 등 새로운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가정에서 약 10일간 사용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어 자연재해 등 응급 상황에서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15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펴낸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주의 기습적인 한파 당시 주민들이 자동차 공조 장치와 소형 발전기를 전력 공급에 활용하면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에너지 운반체로서 전기차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현대차 ‘아이오닉 5’의 용량(72.6㎾h) 기준으로 가정에서 약 10일간 사용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외부 전원 연계 방식은 야외에서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V2L, 정전 상황에서 주택과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V2H·V2B, 전력망을 안정화하는 V2G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V2L의 경우, 현대차 아이오닉 5가 대표적이다. 이 차는 실내 포트를 통해 운행 중에 전력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충전구를 통해서는 주차 중에 최대 3.6㎾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V2H·V2B 방식은 캐나다 스타트업인 오시아코(Ossiaco)가 개발한 전기차 충전기에 적용됐다. 이 충전기는 가정용 태양광 시스템과 연동해 전기차를 충전하고, 정전 시에는 전기차 배터리를 응급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V2G는 전기차를 전체 전력 공급망에 연결해 전력 수요에 따라 전기차에 저장된 전기를 유동적으로 활용해 전력망을 안정화할 수 있는 기능이다.
다만 이러한 외부 전력 공급 기능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단축시키고, 반복된 배터리 충전과 방전으로 성능과 수명을 저하시킨다.
연구원 관계자는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성능이 향상되고 배터리 구독 서비스 등 새로운 모델이 늘어나면 ESS와 에너지 운반체로서 전기차의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며 “배터리 밀도와 전기차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면 충전 시간도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15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펴낸 산업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주의 기습적인 한파 당시 주민들이 자동차 공조 장치와 소형 발전기를 전력 공급에 활용하면서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에너지 운반체로서 전기차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현대차 ‘아이오닉 5’의 용량(72.6㎾h) 기준으로 가정에서 약 10일간 사용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외부 전원 연계 방식은 야외에서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V2L, 정전 상황에서 주택과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V2H·V2B, 전력망을 안정화하는 V2G 등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V2L의 경우, 현대차 아이오닉 5가 대표적이다. 이 차는 실내 포트를 통해 운행 중에 전력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충전구를 통해서는 주차 중에 최대 3.6㎾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V2H·V2B 방식은 캐나다 스타트업인 오시아코(Ossiaco)가 개발한 전기차 충전기에 적용됐다. 이 충전기는 가정용 태양광 시스템과 연동해 전기차를 충전하고, 정전 시에는 전기차 배터리를 응급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V2G는 전기차를 전체 전력 공급망에 연결해 전력 수요에 따라 전기차에 저장된 전기를 유동적으로 활용해 전력망을 안정화할 수 있는 기능이다.
다만 이러한 외부 전력 공급 기능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단축시키고, 반복된 배터리 충전과 방전으로 성능과 수명을 저하시킨다.
연구원 관계자는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성능이 향상되고 배터리 구독 서비스 등 새로운 모델이 늘어나면 ESS와 에너지 운반체로서 전기차의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며 “배터리 밀도와 전기차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되면 충전 시간도 단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