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29/20210329145829220134.jpeg)
안감찬 신임 BNK부산은행장(왼쪽)과 최홍영 신임 BNK경남은행장[사진=아주경제 DB]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안감찬 부산은행장과 최홍영 경남은행장은 내달 1일부터 2년 임기로 업무에 돌입한다. 이후 다른 지방은행들과 좁혀진 실적 격차를 다시 벌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양 행의 작년 순익은 전년 대비 각각 17.7%, 9.4%나 줄었다. 전북은행의 순익이 13.4%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이다. 광주은행의 실적 감소폭(7.5%)보다도 훨씬 컸다. 이로 인해 지방지주 2위인 JB금융과의 실적 격차가 650억원(2203억원→1558억원)이나 쪼그라들었다.
일단 수익성을 끌어올리는 게 시급하다.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이 각각 5.76%, 4.72%로 1년 전보다 1.59% 포인트, 0.69% 포인트 하락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 역시 각각 0.52%, 0.39%까지 떨어졌다. 전북은행(0.7%)과 광주은행(0.62%)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수준이다. 순이자마진(NIM)도 각각 1.88%, 1.8%에 그쳤다.
양 행장 실적 개선의 첫발은 ‘비이자 이익 확대’가 될 전망이다. 현재는 이자 이익에 대한 의존도가 각각 90% 안팎에 달해 효율적인 사업 전개에 한계가 있다. 지금 같은 ‘저금리 기조’엔 크게 휘둘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비이자 역량을 키우는 핵심은 ‘투자금융’이다. 자산관리(WM) 육성 등을 통해 효율적인 실적 방어막을 마련할 수 있다.
양 행장 모두 앞서 여신사업을 총괄한 경험이 있는 만큼, 과감한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관련 경험이 부족한 건 보완해야 할 부분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투자금융 역량 강화는 그룹 내에서 오랫동안 강조됐던 화두 중 하나”라며 “관련 경쟁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키워가는지 여부에 따라 향후 성과에 대한 평가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과의 원만한 호흡도 관건이다. 김 회장의 남은 임기는 2년으로, 양 행장과 동일하다. 이들은 모두 부산대학교 동문이며, 앞서 같은 조직 내에서 함께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