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 격상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과 신규 확진자 외 다른 방역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7일 백브리핑을 통해 "현재 환자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가파른 증가세를 억제하는 단계"라면서도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있어 사회적 수용성이나 방역·의료 부분을 모두 고려한 거리두기 단계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윤 반장은 "환자 구성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며 "거리두기는 의료적 대응 여력 확보와 연계된 만큼, 위중증 환자 비율이나 치명률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환자가 전날보다 24명 증가한 것에 대해 윤 반장은 "보통 추세를 보면 주말 이후 화요일 0시 기준으로 증가하는 양상"이라며 "위중증 환자 중에는 신규 환자도 있고, 기존 환자 중 치료를 통해 위중증 환자에서 제외되는 숫자도 있어 매일 바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확진자가 증가하면 위중증 환자도 조금씩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다"면서 "다만 치료 역량이 예전보다 많이 높아졌고, 위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이나 항체치료제 등을 통해 위중증 환자도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도 "거리두기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료 체계의 붕괴가 일어날 만큼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이라며 " 현재 의료 체계에 여력이 있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비용과 서민층의 피해가 우려되는 거리두기 강화 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 계속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이번 주 방역관리를 강화하면서 차단 속도나 추적 속도를 높이면 증가세를 반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12명으로 이틀 연속 500명대를 기록했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477명, 해외 유입 사례는 35명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4/27/20210427135211678101.jpg)
경북 고령, 청도 등 12개 군에 5인 금지 해제가 내려진 26일 고령의 한 패스트푸드 매장에 손님들이 5인 미만만 함께 앉아 거리두기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윤 반장은 "환자 구성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며 "거리두기는 의료적 대응 여력 확보와 연계된 만큼, 위중증 환자 비율이나 치명률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환자가 전날보다 24명 증가한 것에 대해 윤 반장은 "보통 추세를 보면 주말 이후 화요일 0시 기준으로 증가하는 양상"이라며 "위중증 환자 중에는 신규 환자도 있고, 기존 환자 중 치료를 통해 위중증 환자에서 제외되는 숫자도 있어 매일 바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확진자가 증가하면 위중증 환자도 조금씩 늘어나는 것은 불가피하다"면서 "다만 치료 역량이 예전보다 많이 높아졌고, 위중증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이나 항체치료제 등을 통해 위중증 환자도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도 "거리두기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료 체계의 붕괴가 일어날 만큼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이라며 " 현재 의료 체계에 여력이 있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비용과 서민층의 피해가 우려되는 거리두기 강화 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 계속 고민 중"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이번 주 방역관리를 강화하면서 차단 속도나 추적 속도를 높이면 증가세를 반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12명으로 이틀 연속 500명대를 기록했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477명, 해외 유입 사례는 35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