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코로나19 임금·소득 충격…고령층일수록 타격 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1-05-20 16:3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저학력자·여성도 많아…택배원·방역원 등은 임금·소득 증가

2월 24일 오후 경기도 용인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및 종사자를 위한 2021년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고용시장이 혼란을 겪는 가운데 고령층일수록 소득 타격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0일 발표한 '코로나19의 직업 영향 관련 재직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소득이 감소한 재직자는 전체 조사 대상의 35.8%에 달했다. 소득이 증가한 사람은 2.9%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국내 537개 직업 종사자 1만624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설문조사 기간은 지난해 8∼11월까지다.

고용정보원은 해마다 500∼60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업별로 약 30명의 재직자(재직 기간 1년 이상)를 대상으로 노동 조건 변화 등을 조사하고 있다.

우선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고령층일수록 높았다. 60대 이상(50.5%)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50대(41.6%), 40대(35.7%), 20대 이하(34.5%), 30대(32.0%) 순이었다.

학력별로는 저학력의 코로나 타격이 더 컸다.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을 학력별로 나열하면 고졸 이하(46.0%), 대졸(34.4%), 석사 이상(21.7%)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39.9%)이 남성(34.0%)보다 높았다.

직업별로 보면 대면 서비스업의 타격이 컸다. 음식 서비스관리자는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100%에 달했다. 연극 및 뮤지컬 배우(97.1%), 모델(96.8%), 선박 객실 승무원(96.8%), 예능 강사(96.7%) 등도 비율이 높았다.

반면 비대면 사회의 조성으로 배송이나 보건 분야의 종사자 소득은 늘었다. 직업별로 살펴보면 택배원(63.3%), 가정의학과 의사(60.0%), 방역원(46.7%), 온라인 판매원(46.7%),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43.3%) 등의 직업에서 소득이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근무시간과 업무량 변화도 눈에 띄었다. 감소했다는 답변(46.3%)이 증가했다는 답변(6.5%)보다 훨씬 많았다. 업무량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도 고령층, 저학력자, 여성이 높았다.

재택근무 도입과 같은 업무 방법 변화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35.0%가 있다고 답했다.

업무 방법 변화가 있다는 사람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37.7%)가 가장 높았고 40대(36.2%), 20대 이하(34.4%), 50대(29.2%), 60대 이상(24.9%) 순이었다.

업무 방법 변화가 있다는 사람의 비율이 100%인 직업은 중·고등학교 교사였다. 업무 방법 변화가 없다는 응답 비율이 100%인 직업은 수학 및 통계 연구원, 만화가, 어부 및 해녀 등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