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5/21/20210521121514201141.jpg)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21일 오전 10시 온라인 생중계를 통해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제2차 국가기간교통망계획(2021∼2040)' 공청회를 열고 2040년까지의 교통 청사진을 발표했다. 국가기간교통망계획은 국가교통의 방향 설정을 위해 수립하는 교통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이번 교통망계획은 2000년 제1차 계획 이후 두 번째로 수립되는 계획이다.
이번 계획에서 국토부는 친환경·첨단 모빌리티가 일상화될 미래에 대비한 교통 정책 수립에 방점을 찍었다. 먼저 내연기관 교통수단을 전기·수소 등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전환해 탄소 배출 제로화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한 지표인 친환경차보급 대수는 지난해 14만 대에서 2030년 385만 대, 2040년 978만 대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전기차·수소차 성능 고도화를 위한 기술·산업 지원, 보조금 지원 등 수요 확대를 위한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 정책을 발굴·시행하고, 수소 열차는 1.2MW급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 개발 및 상용화, 무궁화급 열차 등 다양한 수소철도차량 연구개발·실증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교통 인프라도 확대한다. 친환경 모빌리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충전 등 부대시설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수소 충전소접근 가능시간은 2020년 1시간 내에서, 2030년 30분 내, 2040년까지 10분 내를 목표로 한다.
오는 2040년까지 전기충전기 100만 기, 수소충전소 1200기를 구축하고, 수소교통복합기지, 친환경 주차장 등 인프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친환경 물류의 경우, 물류 거점지역에 전기·수소 화물차 충전시설 설치, 연료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청정 물류체계를 구축한다.
친환경 항공 방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모빌리티 활용, 공항소음 관리목표 도입, 소음대책사업 개편 등 지속가능한 성장체계를 구축한다. 친환경 항만은 밀폐형 하역시스템, 친환경 동력원 사용 등을 통한 항만 대기 질 개선, 해상풍력발전단지, 수소 항만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아울러 첨단 교통수단의 개발과 보급 지원, 교통·물류의 스마트화에도 집중한다. 자율차·드론·자율주행선박 등 육상·해상·상공 공간의 제약 없이 이동할 수 있는 첨단 모빌리티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자율차판매 비율을 2020년 0%에서 2030년 52%, 2040년 80%를 목표로 한다.
자율주행차의 경우, 2022년까지 레벨3 자율차 상용화, 2024년까지 레벨4 자율차 도입, 2027년까지 레벨4 자율차 상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인프라를 구축한다. 드론은 도심비행 등 본격적 드론 활용을 대비한 2단계, 중대형 드론 등 드론 고도화 대응을 위한 3단계 제도 기반 구축한다.
UAM으로는 기체개발·운송·공역설계 등 분야별 중점 투자를 통해 2025년에 최초 상용화해 2035년 셔틀노선, 긴급구조 항공기 등 이용 보편화에 나선다. 실증 개발지원을 위한 K-UAM 그랜드챌린지, 기술개발 지원전략인 'K-UAM 기술로드맵' 발표, 드론택시 비행 시연, 외곽실증 등 추진이 예정돼 있다.
국토부와 교통연구원은 이번 계획 수립을 위해 2018년 11월부터 국내 교통 분야 투자 현황과 교통 수요, 미래 여건 변화 등 분석을 위한 기초연구를 해왔다. 교통연구원은 또 지난해 6월부터 이번 계획 수립을 위한 본격적인 연구용역에 착수해 이번 계획안을 마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