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앞선 2·4부동산대책(3080플러스 획기적 주택공급 확대방안) 발표 이전 0.06%(1월 4일)~0.10%(2월 1일)와 같거나 오히려 높은 수준이다.
2·4대책 이후 0.05% 수준까지 하락했던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은 4월 12일(0.07%)부터 4월 19일(0.08%), 5월 3일(0.09%)까지 점차 가팔라져 사실상 정책 발표 후 3개월 만에 상승장으로 돌아섰다.
지난달 기준 서울 평균 아파트값이 9억1160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반적으로 집값이 한 주에 90만원, 한 달에 360만원 이상 오르는 셈이다.
우리나라 직장인 평균 월급이 309만원(통계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한 달 노동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따라갈 수 없는 수준이다.
특히 약 3만 가구 규모 구축 아파트가 일제히 재건축 준비에 나선 노원구는 지난 17일 기준 0.21% 올라 6주 연속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초구(0.2%)와 송파(0.16%), 강남(0.13%) 등 한동안 잠잠했던 ‘집값 바로미터’ 강남4구도 서울 평균치를 상회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집값이 오르기 전에 먼저 나타나는 선행지표도 상승세에 있다는 점이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서울 주택매매시장 심리지수는 지난달 129.8로 집계됐다.
국민과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0에서 200까지의 지표로 환산한 이 지수는 중간값 100을 넘을수록 가격 상승 및 거래 증가 응답이 많다는 의미다.
국토연구원은 자체 연구 결과, 이 지표가 115 이상을 기록하면 1~2개월 뒤 집값이 오르는 양상을 보였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외에 한국은행이 발표한 주택가격전망지수도 지난 2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이달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한 124로 반등했다.
정부여당이 추진한 정책에 다수 참여했던 전문가조차 향후 2년간은 집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내놨다.
서울 32만 가구를 포함한 전국 83만 가구 공급을 골자로 한 2·4대책이 지지부진한 데다 민간 재건축을 계속 억제하기 어렵다는 점, 본격적인 도심 공급이 2024년경에야 이뤄진다는 점에서다.
실제로 국토연구원은 ‘수도권 중장기 주택공급 전망과 시사점’을 통해 주택 인허가 감소로 인해 신규 공급이 2022년까지 지속 감소하다 2023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된다고 예상했다.
익명을 요청한 A대학 교수는 ”집값을 자극하지 않으려고 서울에서 유일한 공급원인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을 너무 오랫동안 막아놓은 탓에 당분간 공급 부족에 집값 상승까지 겹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가장 큰 문제는 집값은 잡히지 않았는데, 정비사업을 풀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