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이주열,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 첫 언급…성장 전망치는 4%로 상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한영훈 기자
입력 2021-05-27 1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자료=한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가능성을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서 언급했다. 그간 내내 ‘완화적 정책’ 유지 입장을 고수해왔던 것과 대비되는 행보다. 여기엔 빠른 경기회복 외에도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이 총재는 2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 시기를) 너무 서두르면 안 되겠지만 지연됐을 때의 부작용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경제와 금융 안정 상황 변화에 맞춰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0.5%로 8차례 연속 동결했다. 앞서 강조해 왔던 ‘완화적 통화정책’ 방향을 일단 이어간 셈이다. 그러나 금리 인상에 대한 신호를 보냈다는 점에서 과거 금통위와는 상황이 다르다. 이는 언제든 통화 정책 관련 방향을 바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엔 ‘부채 급증’에 대한 우려가 원인으로 작용했다. 한은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765조원으로, 가계 빚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결국 금리 인상을 통한 기조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란 뜻이다.

이 총재는 "가계 부채 증가세가 더 지속되면 그에 따른 부작용이 상당히 크고 그걸 다시 조정하려면 더 큰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면서 "금융불균형 누적을 방지하기 위해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경기회복세가 예상보다 뚜렷한 점도 힘을 보탰다. 앞서 1.6%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던 1분기 회복세가 급격히 꺾이는 일이 없다면 연내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중앙은행)보다 먼저 통화정책 기조를 변경할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은 국내 금융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화정책 결정 시 중요한 고려사항"이라며 "하지만 우리 통화정책은 국내 경제 여건에 맞춰서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한은 통화정책이) 반드시 연준 통화정책과 1대1로 매칭해서 운용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

한은은 이날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도 4.0%까지 끌어올렸다. 직전 전망치였던 3.0%에서 1.0%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만약 한은의 예상대로 성장률이 4.0%를 기록한다면 한국의 연간 성장률은 2010년(6.8%)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하게 된다. 2010년에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빠르게 벗어나면서 성장률이 급등한 바 있다.

내년 성장률은 2.5%에서 3.0%로 올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8%, 내년 1.4% 수준을 각각 점쳤다. 경기회복 속도가 빨라지면서 물가상승률도 지난번 전망치(1.3%)보다 0.5% 포인트 올려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