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6/07/20210607163754969915.jpg)
7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택배물류센터에서 관계자들이 물품을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소속 택배기사들이 7일부터 분류작업 거부에 들어갔다. 택배회사들이 택배기사 과로사를 방지할 분류작업 지원에 소극적이어서다. 8일로 예정된 합의안 작성까지 무산될 경우 택배대란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택배노조는 이날부터 6500여명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9시 출근·11시 배송 출발'에 돌입했다. 평소보다 2시간 늦은 출근과 배송 시작이다.
이번 단체행동 핵심은 분류작업 거부다. 택배업계 1위인 CJ대한통운 소속 택배기사들은 보통 오전 7시쯤 출근해 택배 분류작업을 한다. 이후 낮 12시∼오후 2시 사이에 배송에 들어간다. 그러나 이날부터 노조 소속 택배기사들은 물건을 배송차에 싣는 상차 작업만 한다.
노조 측은 택배회사들이 분류작업 별도인력 투입 등 사회적 합의를 이행하지 않아 이같은 단체행동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택배노조는 "택배사들이 2차 사회적 합의를 통해 분류작업을 비롯한 과로사 방지 조치를 완비하고 시행해야 하지만, 몽니를 부려 최종 합의가 불투명하다"고 비판했다.
택배노조가 이달 2∼3일 전국 택배노동자 118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4.7%에 해당하는 1005명이 여전히 분류작업을 하고 있었다. 별도 인력이 투입되지 않아 택배기사가 분류작업을 모두 부담하는 비율은 30.2%(304명)에 달했다.
노조 측은 "택배사들이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과로사 대책 시행 유예기간을 1년 더 두자는 등 터무니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날은 일주일 중 배송 물량이 제일 적은 월요일이라 택배대란은 빚어지지 않았다. 택배노조 관계자는 "내일이 되면 확실히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8일은 택배대란의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날 정부와 택배노사 등이 참여하는 2차 사회적 합의 관련 최종 회의가 열린다. 분류작업 지원 등을 둘러싼 노사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대규모 배송 지연이 불가피하다.
택배노조는 사회적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단체행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노조 측은 "8일 최종 회의에서 택배노동자 과로사를 제대로 방지할 합의가 이뤄지길 간절히 원하고 있다"면서 "택배사가 이를 반대하거나 거부한다면 싸움을 피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반면 CJ대한통운·한진택배 등 택배사들은 노조 입장 모두를 받아들일 수는 없단 입장이다. 택배업계 측은 "노조가 요구하는 100% 합의는 받아들이기 힘들다"면서 "사회적 합의기구 1·2차 협의에서 합의한 사안을 중심으로 인력 충원 등을 단계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