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현지시간) 나스닥지수가 최고점을 경신하는 등 뉴욕증시가 이틀째 강세를 보였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시장의 금리 인상 우려가 완화한 데다, 암호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한때 3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던 여파로 풀이된다.
이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68.61p(0.20%) 상승한 3만3945.58에,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21.65p(0.51%) 오른 4246.44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1.79p(0.79%) 상승한 1만4253.27을 기록하면서, 장중 가격과 종가 기준으로 모두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지수 11개 부문은 △부동산 -0.44%와 △유틸리티 -0.68% 등 2개 부문을 제외한 9개 부문이 일제히 상승했다. 각각 △임의소비재 1.04% △필수소비재 0.18% △에너지 0.67% △금융 0.1% △헬스케어 0.21% △산업 0.13% △원자재 0.34% △기술주 0.8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76% 등이다.
이날 뉴욕증시 강세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투자자들이 시장 안정에 대한 신뢰를 빠르게 회복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시장은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를 키워오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날 파월 의장은 미국 하원 코로나19 위기 특별 소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연준의 완화 정책과 금융시장 지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연준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우려만으로 기준금리를 조기에 인상하지 않을 것이란 취지의 발언을 내놨기 때문이다.
또한 파월 의장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영향이 예상보다 더 크긴 했지만, 경제 재개에 따라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수치는 2%에 수렴하며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할 것이라고 말해 연준의 경제 전망 입장이 바뀌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CNBC는 "파월 의장이 매파적(긴축 선호 입장)으로 나올 것을 우려한 거래가들이 안도했을 것"이라고 풀이했으며, 로이터는 뉴욕라이프인베스트먼트 소속 로런 굿윈 경제학자의 보고서를 인용해 "시장의 일시적 하락세가 있을 순 있어도, 연준의 경로 조정이 경기 침체를 촉발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선 다른 연준 인사들도 시장에 안도감을 불어넣는 발언을 이어갔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블룸버그TV에서 "기준금리 인상은 당장 연준의 핵심적인 이슈가 아니며, 아직은 먼 얘기"라면서 "연준은 정책 결정에서 기계적인 공식을 따르지는 않기에,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은 경제 지표 상황에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지금 시점에서 연준이 테이퍼링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아직은 테이퍼링 시점에 도달하진 않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기존 입장과 같이 고용과 인플레이션에서 모두 상당한 추가 진전이 있어야 하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는 돼야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는 앞서 연준이 올해 중반 테이퍼링에 돌입하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잠재우고, 당초 전망한 긴축 전환 시기를 지지한 것이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연준은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했지만, 고용 목표는 아직 그렇지 않아서 테이퍼링을 위한 여건을 아직 충족하지 못했다"면서 "노동시장이 올여름 더 크게 진전할 때까지 연준은 완화적 정책기조 조정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비트코인 약세가 기술주의 강세를 불러온 또 다른 요건으로 작용했다.
이날 비트코인은 올해 1월 말 이후 처음 3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2만9296.16달러까지 떨어진 후 3만2000달러 선을 회복한 상태다.
앞서 CNBC는 비트코인 가격이 3만 달러를 밑돌 경우 2만5000달러 선까지 밀릴 수 있는 시장 붕괴 조짐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으나, 실제로는 3만 달러가 붕괴한 직후 저가 매수세가 유입하면서 전날 거래가 수준을 회복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시장이 한 차례 위기를 넘겼다는 진단이 이어지곤 있지만, 여전히 높은 변동성을 유의해야 한다는 경계감은 남아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6.88% 하락한 16.66을 나타냈다.
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는 0.4% 오른 7090.01로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30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2% 상승한 1만5636.33을,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40지수는 0.1% 상승한 6611.50을 기록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지수는 0.4% 뛰어오른 4127.33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8월부터 감산 규모를 추가로 완화하는 논의를 진행 중이라는 소식에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가격은 전날보다 0.60달러(0.8%) 떨어진 배럴당 73.06달러에 마감했다. 7월물은 이날이 만기일이다.
다음 날부터 최근월물로 거래되는 8월물 선물 가격은 0.27달러(0.4%) 하락한 배럴당 72.85달러를 기록했다.
영국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의 8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장중 한때 배럴당 75.30달러를 기록하며 2019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75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차익 실현 매물에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하면서 전날보다 0.17(0.23%) 하락한 배럴당 74.73달러에 거래 중이다.
금값은 미국 달러화 강세로 7주 만에 최저치에 가까워졌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은 5.50달러(0.3%) 하락한 온스당 1777.40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68.61p(0.20%) 상승한 3만3945.58에, 대형주 위주의 S&P500지수는 21.65p(0.51%) 오른 4246.44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11.79p(0.79%) 상승한 1만4253.27을 기록하면서, 장중 가격과 종가 기준으로 모두 최고치를 경신했다.
S&P500지수 11개 부문은 △부동산 -0.44%와 △유틸리티 -0.68% 등 2개 부문을 제외한 9개 부문이 일제히 상승했다. 각각 △임의소비재 1.04% △필수소비재 0.18% △에너지 0.67% △금융 0.1% △헬스케어 0.21% △산업 0.13% △원자재 0.34% △기술주 0.8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0.76% 등이다.
이날 파월 의장은 미국 하원 코로나19 위기 특별 소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연준의 완화 정책과 금융시장 지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연준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우려만으로 기준금리를 조기에 인상하지 않을 것이란 취지의 발언을 내놨기 때문이다.
또한 파월 의장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영향이 예상보다 더 크긴 했지만, 경제 재개에 따라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수치는 2%에 수렴하며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할 것이라고 말해 연준의 경제 전망 입장이 바뀌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CNBC는 "파월 의장이 매파적(긴축 선호 입장)으로 나올 것을 우려한 거래가들이 안도했을 것"이라고 풀이했으며, 로이터는 뉴욕라이프인베스트먼트 소속 로런 굿윈 경제학자의 보고서를 인용해 "시장의 일시적 하락세가 있을 순 있어도, 연준의 경로 조정이 경기 침체를 촉발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선 다른 연준 인사들도 시장에 안도감을 불어넣는 발언을 이어갔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블룸버그TV에서 "기준금리 인상은 당장 연준의 핵심적인 이슈가 아니며, 아직은 먼 얘기"라면서 "연준은 정책 결정에서 기계적인 공식을 따르지는 않기에,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은 경제 지표 상황에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을 통해 "지금 시점에서 연준이 테이퍼링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아직은 테이퍼링 시점에 도달하진 않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기존 입장과 같이 고용과 인플레이션에서 모두 상당한 추가 진전이 있어야 하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는 돼야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는 앞서 연준이 올해 중반 테이퍼링에 돌입하고 올해 말이나 내년 초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잠재우고, 당초 전망한 긴축 전환 시기를 지지한 것이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연준은 인플레이션 목표를 달성했지만, 고용 목표는 아직 그렇지 않아서 테이퍼링을 위한 여건을 아직 충족하지 못했다"면서 "노동시장이 올여름 더 크게 진전할 때까지 연준은 완화적 정책기조 조정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비트코인 약세가 기술주의 강세를 불러온 또 다른 요건으로 작용했다.
이날 비트코인은 올해 1월 말 이후 처음 3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2만9296.16달러까지 떨어진 후 3만2000달러 선을 회복한 상태다.
앞서 CNBC는 비트코인 가격이 3만 달러를 밑돌 경우 2만5000달러 선까지 밀릴 수 있는 시장 붕괴 조짐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으나, 실제로는 3만 달러가 붕괴한 직후 저가 매수세가 유입하면서 전날 거래가 수준을 회복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시장이 한 차례 위기를 넘겼다는 진단이 이어지곤 있지만, 여전히 높은 변동성을 유의해야 한다는 경계감은 남아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6.88% 하락한 16.66을 나타냈다.
파월 발언에 유럽도 상승세...유가 혼조·금 하락
22일 유럽 주요국 증시 역시 파월 의장의 발언 영향으로 소폭 상승했다.영국 런던증시의 FTSE100지수는 0.4% 오른 7090.01로 마감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증시의 DAX30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2% 상승한 1만5636.33을, 프랑스 파리증시의 CAC40지수는 0.1% 상승한 6611.50을 기록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지수는 0.4% 뛰어오른 4127.33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8월부터 감산 규모를 추가로 완화하는 논의를 진행 중이라는 소식에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선물가격은 전날보다 0.60달러(0.8%) 떨어진 배럴당 73.06달러에 마감했다. 7월물은 이날이 만기일이다.
다음 날부터 최근월물로 거래되는 8월물 선물 가격은 0.27달러(0.4%) 하락한 배럴당 72.85달러를 기록했다.
영국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의 8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장중 한때 배럴당 75.30달러를 기록하며 2019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75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차익 실현 매물에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하면서 전날보다 0.17(0.23%) 하락한 배럴당 74.73달러에 거래 중이다.
금값은 미국 달러화 강세로 7주 만에 최저치에 가까워졌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금 선물은 5.50달러(0.3%) 하락한 온스당 1777.40달러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