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경기도 차원 "맞춤형 광역교통 체계 청사진 나왔다"…'문제 개선 효과 극대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의정부)임봉재 기자
입력 2021-08-12 11: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앙정부 의존 탈피, 지역 실정 맞는 교통 체계 구축'

  • '도내 전역 6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 사업 제시'

경기도청.[사진=경기도 북부청 제공]

광역교통 문제 개선 효과를 극대화한 경기도 차원의 청사진이 나왔다.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광역교통 체계 구축이 골자다.

경기도는 이런 내용은 담은 '경기도 광역교통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용역'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지난해 4~8월 경기연구원 등이 연구를 추진, 내놓은 결과다.

연구는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신도시 개발에 따른 도내 광역교통 문제를 동시에 개선하는 대책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뒀다.

특히 중앙정부 광역교통 계획에만 의존하던 방식에서 탈피, 경기도 자체적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실효성 있는 교통 체계를 구축하는 주안점을 두고 진행됐다.

실제 교통량을 분석한 결과 서울 중심 공간 구조, 광역화로 인한 통근 거리·시간 증가, 승용차 중심 도로 교통 체계, 대중교통 이용 불편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됐다.

연구는 '경기도 거점 간 광역교통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발전 유도'를 비전으로, '광역교통 패러다임의 전환과 빠르고 편리한 경기도 광역교통'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4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 도로 체계 구축'을 위해 광역 간선도로 효율적 확충, 자율주행시대 대비 안전 도로 운영, 친환경·수익성 도로 사업 추진 등이 과제로 제시됐다.

또 '경기도 지역 간 철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중점 과제로는 지역간 균형 철도서비스 제공, 철도 운영 적자 개선 및 운용 효율화 등이 도출됐다.

'지역별 교통거점 및 연계교통 체계 구축'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복합환승 시설 지역 교통 거점화를 비롯해 환승 운영체계 정비, 효율적 연계교통 체계 구축 등이 과제로 포함됐다.

'철도망 보완 간선급행버스(BRT) 체계 구축’ 차원에서 철도 접근성 향상 위한 BRT 체계 구축, 철도 수준 S-BRT 운영 등이 과제로 제안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도내 31개 시·군 통행 패턴과 교통량 등을 분석, 남서부와 남동부, 남부, 북동부와 북서부, 북부 등 6개 권역으로 나눠 대안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시·군 의견을 수렴해 광역교통 시설별 주요 후보 사업을 선정, 효율성이 낮은 사업을 제외한 환승시설 10개, 도로 9개, 철도 8개, BRT 6개 등 권역별 사업 33개를 제시했다.

남서부권은 군포~성남 고속도로 등 3개, 남동부는 성남 광역 BRT 및 산성대로 S-BRT 등 4개, 남부는 신안산선 연장 등 3개 사업이다.

북서부의 경우 김포 골드라인 검단오류 연장 등 4개, 북부는 장암역~동의정부IC 개설 등 3개 사업이 권역별 사업으로 도출됐다.

이들 사업으로 인한 기대 효과는 도로 부문에서 차량들의 이동 거리가 1.2% 줄고, 철도·BRT의 경우 일 통행 수단전환량이 각각 14만479, 1만3195로 분석돼 계획대로 사업 추진되면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 체계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재정 지원 등에 법적 영향력은 갖고 있지 않지만, 향후 경기도만의 교통 문제를 개선하고, 체계적인 광역교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며 "제시된 개선 방안은 실무 검토를 거쳐 정부에 법령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