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9/03/20210903074022732804.jpg)
안동광 경기도 농정해양국장이 비닐 강도를 조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경기도 제공]
도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는 최근 환경부서, 경기도농수산진흥원, 생산자단체, 물류업체 등이 모여 폐비닐 발생 현황을 공유하고 친환경학교급식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을 획기적으로 줄여 연간 30톤의 이산화탄소(CO₂)를 감축하는 협업 방안을 마련했다고 3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 산지와 물류센터에서 농산물을 포장하고 박스를 고정시킬 때 일회용 비닐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비닐 발생량은 연간 약 51톤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이에 따라 우선, 고정용 비닐 16톤은 일회성 비닐 대신 계속 사용이 가능한 재활용 성분의 그물 형태 포장재로 대체하기로 했다.
또 포장용 속비닐 35톤은 생분해성 비닐로 대체하거나 재활용하는 방안, 크기를 세분화해 사용량을 최적화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염두에 두고 추가 논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생분해성 비닐의 처리방안이나 비닐 재활용 제품에 대한 친환경학교급식의 순환 사용 등에 대해 환경부서를 중심으로 지속 협의하기로 했다.
도는 이번 대책이 연간 30톤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을 줄이고 노동자의 노동환경을 개선해 생산과 유통과정이 모두 친환경으로 운영되는 경기도형 친환경학교급식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동광 도 농정해양국장은 “사람에게도 친환경적이고, 자연에도 친환경적인 경기도 친환경학교급식이 되기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면서 “환경오염 방지와 탄소 배출 최소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도내 초중고 2,400여 학교 150여만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우수 농·축산물 학교급식 공급사업’을 2009년부터 추진해오고 있으며 올해의 경우 시군과 함께 친환경 우수 농·축산물 차액을 보전하기 위해 75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9/03/20210903074057228129.jpg)
‘사회적경제 단기기획전’ 포스터 [사진=경기도 제공]
이와 함께 도는 이날 판로 확대에 어려움을 겪는 도내 사회적경제기업을 위해 마련한 추석 명절맞이 ‘사회적경제 단기기획전’에서 37개 기업이 140개 제품을 판매키로 했다.
도가 주최하고 경기사회적경제센터가 주관하는 이번 단기기획전은 안양역사(9월 7~30일), 수원역사(9월 9일~10월 7일), 하남 스타필드(10월 1~4일)에서 각각 열릴 예정이다.
앞서 도는 지난 17일까지 참여기업 공모를 통해 22개 시·군 37개 사회적경제 기업을 모집했고 이들이 생산한 140여개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선보이며 마을기업, 예비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사회적기업 등은 수제쌀조청, 미니에코백, DIY소품(소비자가 원하는 물건을 직접 만들 수 있도록 한 상품) 뿐만 아니라 명절을 맞아 각종 선물세트도 판매한다.
김영철 도 소통협치국장은 “사회적경제기업은 지속가능한 공동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사회 활성화 등 공동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며 “이번 사회적경제 단기기획전을 통해 따뜻한 소비를 체험하기를 바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사회적경제 판로지원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