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 SK증권 지식서비스부문 리서치센터 자산전략팀장은 "ESG를 고려한 투자를 할 경우 유럽보다 한국에서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팀장은 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3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21 GGGF)'에서 "기후위기가 현실인 만큼 앞으로 국민연금 등 연기금이 ESG를 고려한 투자를 전개한다면 아직 ESG투자가 상대적으로 덜 발달한 한국에서는 선제투자가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팀장은 ESG투자가 필요한 까닭으로는 기후위기가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영향을 미치는 사례로는 이탈리아 베네치아와 덴마크 코펜하겐, 미국 뉴욕 등 해안가에 위치한 도시들이 천문학적인 금액을 들여 제방을 쌓고 있는 것을 제시했다. 기후변화가 촉발한 해수면 상승이 도시를 위협하면서 도시의 금융 자산이 영향을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마이애미 콘도 붕괴 사고의 원인으로도 해수면 상승이 지목됐다. 워싱턴포스트가 붕괴 원인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지반 약화를 지목하면서 기후위기가 금융시장과 자산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 셈이다.
이 팀장은 "사람들이 기후위기로 인해 도시가 수몰되고 건물이 무너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하는 순간 자산가격에 우려가 반영될 것"이라며 "기후위기가 금융자산의 가치를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평가하도록 바꾸는 셈"이라고 부연했다.
세계 각국은 이미 기후위기 대응이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UN은 1.5°C, 25Gt, 56Gt, 7.6%라는 네가지 숫자를 강조하고 있다. 이는 각각 △산업혁명 이후 기온이 1.5°C 이상 상승할 경우 기후 정상화에 더 많은 비용이 들고 △2030년까지 25G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하며 △배출량 감소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배출량은 56Gt이고 △탄소배출량을 연 7.6% 줄여야 한다 는 슬로건이다.
기후위기 선진국인 유럽은 이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각종 제도를 시행 중이다. 탄소세가 대표적인 사례다. 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이 문을 닫을 경우 발생하는 비용을 이미 확인했다. 한국은행도 최근 이산화탄소를 대량 배출하는 기업에 대해 금융기관이 대출해준 금액을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 중이다.
이 팀장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좌초자산'을 보유·가동한다는 이유로 각국이 탄소세 등의 형태로 비용을 청구하기 시작하고 있다"며 "비용 청구가 가시화되기 시작하면 이는 주가에 반영되기 시작한다. 유럽은 이미 양적 완화도 'Grenn QE'를 모토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기업에 대해서만 자금을 지원하는 모양새"라고 덧붙였다.
세계 각국이 한국에도 탄소 감축을 압박하면서 한국도 탄소중립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미 탄소중립위원회가 탄소 중립 시나리오를 발표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대량 배출하는 기업에 대한 압박이 강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팀장은 "현재로서는 기대수익률이 낮으면 ESG등급이 높다고 해도 투자할 투자자가 적다. 하지만 유럽 연기금이 ESG등급이 높은 기업 위주로 투자를 하는 것처럼 한국의 국민연금도 이와 유사한 ESG-Motivated 투자자로 변모할 것"이라며 "국내에서도 ESG등급이 높은 기업의 주식에 대한 수요가 향후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따라서 이미 ESG투자가 발달된 유럽보다 한국에서의 ESG투자가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셈"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