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3월 치러질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나선 여야 후보들이 각종 공약을 당내 경선에서부터 쏟아내고 있다. “내가 대통령이 되면 이걸 하겠다”는 게 공약(公約)이다. 유권자에게 공적으로 하는 약속이다. 공약은 정책으로 다듬어지고 국회 법 제정 혹은 개정으로 그 근거를 마련한다. 행정부를 이끄는 대통령과 해당 부처 장관이 추동하고 실무 공무원들이 정책 '액션 플랜'을 내놓는다. 이 공약이 동주민센터 같은 행정 현장에서 실제로 행해지면, 그제서야 국민들 피부와 와닿는 공약이 완성된다. 국민들이 체감하는 변화, 공약이 최종 실행되기까지 투입되는 시간, 비용, 에너지는 간단치 않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9일 서울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8일 오전 ‘김동연TV’ 유튜브 채널에서 그는 여야 후보들을 향해 ‘공통공약추진시민평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여야 후보들과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비슷한 경제공약을 묶어 새 대통령이 누가 되든 끝까지 공통공약을 이행하는 기구를 만들자는 말이다.
▶김동연 후보는 14일 MBC 표준FM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공통공약추진시민평의회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받았고, 곧 실무협의를 하자는 단계까지 와 있다”고 말했다.

[5월 10일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제10회 '유권자의 날' 기념식에서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동연 후보 아이디어에 적극 동의한다. 단 이를 실제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역할을 해야할 듯 싶다. 김동연 후보 역시 대선 출마를 선언한 ‘플레이어’ 중 한 명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 일을 맡아서 하기 쉽지 않을 거다. 일반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데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에 매 선거마다 후보와 정당의 공약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중앙선관위가 맡아서 하는 게 좋다고 본다. ‘공통공약추진 시민평의회’ 말고 정치적 편향에서 자유로운 유권자, 시민단체로 ‘공통공약추진 유권자평의회’를 만드는 거다.
노정희 선관위원장이 꼼꼼히 살펴보기를 바란다. 정치 발전을 위한 선관위 직원들의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중앙선관위 인터넷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주요서비스-주요정보-정책공약 보기를 누르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책·공약알리미(nec.go.kr)'가 뜬다. 여기 나오는 정보는 모두 과거 선거 내용이다. 이 알리미와 제20대 대통령선거 정보 사이트에 공통공약 부분을 추가하면 어떨까.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캡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