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이 국내 4개은행(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월부터~12월까지 중도금대출이 만기되는 사업장이 5만3023세대(5조727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입주 시기에 맞춰 중도금 대출 및 잔금을 포함해 새로운 주택담보대출을 일으키게 되는데 연내 중도금 잔액 만기가 5조7270억원에 이르는 만큼 통상 약 8조원의 잔금대출 한도가 필요하다. 중도금 대출 5조원을 감안한다 해도 은행권의 순증만 약 3조원의 신규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6%로 엄격히 관리하면서 농협은행 등이 신규대출을 중단한 상황이다. KB국민은행도 잔금대출 한도를 대폭 줄였고 우리은행과 하나은행도 금융당국이 정한 비율을 맞추기 위해 신규대출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대표적인 실수요 대출인 주택잔금대출 뿐 아니라 전세자금대출마저 막겠다고 나서고 있어 입주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유의동 의원은 “가계부채를 관리해야 한다는 총론에는 동의하지만 수많은 실수요자를 피눈물로 몰아가는 대책 각론에는 분명한 반대를 표한다”며 “실수요자 보호방안이 마련된, 국민들이 수긍할만한 진짜 실효성 있는 가계대책을 금융당국이 다시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