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수원 문화재 야행 모습 [사진=수원시 제공]
13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시작돼 올해 다섯 번째로 열리는 ‘2021 수원 문화재 야행’은 문화재청이 주관하는 ‘문화재 야행’의 하나로 수원화성 일원 곳곳의 야경을 감상하며 문화를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시가 주최하고 수원문화재단이 주관한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지난 8월에서 이달로 연기됐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방역 수칙을 준수해 행사가 진행되며 관람객이 모이는 공연·체험·마켓 등 대면 행사를 제외하면 대부분 걸으며 관람할 수 있는 비대면으로 진행될 계획이다.
올해는 ‘기억’을 주제로 수원화성 안 마을에 살던 이웃들과 그들의 터전 이야기를 중심으로 수원의 근현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볼거리를 준비됐으며 야경(夜景)·야로(夜路)·야사(夜史)·야화(夜畵)·야설(夜設)·야시(夜市)·야식(夜食)·야숙(夜宿)으로 구성된 8야(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야로’(밤에 걷는 거리)는 GPS(위성항법시스템) 사운드시스템을 기반으로 ‘나 홀로 떠나는 GPS 미션투어’를 활용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돼 스마트폰을 이용해 행궁광장, 여민각, 북수동성당 등에서 수원 인물에 관한 관련된 설명을 들을 수 있고 미션을 완료하면 소정의 기념품(선착순)을 제공한다.

수원 문화재 야행(夜行) 포스터 [사진=수원시 제공]
‘야화’(밤에 보는 그림)는 미디어 아트, 조형물 설치 등으로 이뤄진다. 건물 벽을 활용한 ‘드로잉 맵핑(Drawing mapping)’ 작품과 협궤열차 수인선·옛 수원극장 등 수원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야설’(밤에 보는 공연)은 만요(漫謠) 음악극을 수원문화재단 유튜브 채널로 방송하는 것이다. ‘야시’(밤 시장), ‘야식’(밤에 먹는 음식)에는 행궁동 공방, 식당, 카페 등 70여 개 업소가 참여하며 ‘수원, 야식기행’은 온라인으로 송출한다.
‘야숙’은 수원 문화재 야행 기간에 수원시 숙박업소를 이용하면 화성행궁 특별 야간 관람권을 제공하는 행사로 수원 문화재 야행 웹페이지에서 프로그램 참여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수원 문화재 야행’은 문화재청이 주관한 ‘2022년 문화재청 공모사업’에 선정돼 내년에도 열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