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제공]
오세훈 시장의 공약인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가 '온서울 건강온'이라는 이름으로 시범사업을 시작한다.
서울시는 오 시장의 공약사항인 서울형 헬스케어 신사업 시범사업을 위해 다음달 1일부터 만19세~64세 서울시민 5만 명을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오 시장이 향후 10년 서울시정 마스터플랜인 '서울비전 2030'을 통해 제시한 '안심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전략 가운데 하나다. 시민 누구나 자가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하는게 목표다.
'온서울 건강온'은 모든 서울시민이 함께한다는 의미의 '온 서울'과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건강관리를 상징하는 '건강 온(ON)'을 결합해 탄생한 브랜드다.
ICT 기술을 기반으로 자가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다. 개인별로 모바일 앱(온서울 건강온)을 설치한 뒤 스마트밴드(서울온밴드)를 지원받아 홈페이지와 서로 연동되는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맞춤형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걸음 수, 운동량(거리 등), 소모 칼로리, 심박수 등 스마트밴드를 통해 수집된 나의 건강데이터를 앱에서 확인하고, 내 신체상태에 맞는 건강목표를 세워 실천할 수 있다.
자가관리로 부족한 부분은 간호사, 영양사, 운동처방사 등 27명으로 구성된 ‘헬스케어 매니저’가 채워준다. 참여자별 건강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상담을 지원한다.
지속적인 건강관리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인센티브도 마련했다. 일일 걸음 수 등 다양한 건강활동을 달성하면 최대 10만 '건강온 포인트'를 받을 수 있고, 적립한 포인트는 체육시설 등 지정된 건강관리 업종과 서울시 공공서비스 이용에 쓸 수 있다.
건강온 포인트는 걸음 수, 칼로리 소모정도, 건강콘텐츠 이용, 출석체크, 식단 기록, 신체활동 변화 정도, 건강목표 달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부여된다. 1포인트는 1원으로 계산된다.
서울시는 '온서울 건강온' 사업을 통해 2030년까지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시민 건강도시를 조성한다는 목표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과 디지털·비대면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온서울 건강온'이 시민 스스로 건강관리하는 데 꼭 필요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다음달 1일 이번 시범사업 참여자 5만 명을 선착순 모집한다. 시범사업 참여 대상은 만19세~64세 서울시민(서울 소재 직장인‧자영업자 포함)이다. 자가건강관리를 위해 필요한 스마트폰(Android 5.0 이상, IOS 10.0 이상)을 소지해야 한다.
건강활동 측정을 위한 스마트밴드(서울온밴드)는 신청시 총 4종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업종료 후에는 반납해야 한다. 시는 시범사업에 대한 점검‧평가를 거쳐 '서울형 스마트 헬스케어' 사업모델을 확정해 2023년부터 사업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온서울 건강온' 시범사업 시작과 연계해 다음달 5일 '온서울 건강온 전문가 포럼'을 열고 ICT 접목 방안을 중심으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의 전망을 논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