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0/29/20211029091040742820.jpg)
김부겸 국무총리가 29일 울산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 총리는 이날 울산시청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국내에서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지 652일, 백신접종을 시작한 지 249일 만인 11월 1일 우리 공동체는 일상회복의 첫걸음을 내딛게 된다"라며 "이것은 코로나와의 싸움에서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란 점을 우리는 분명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상회복은 세 단계에 걸쳐 차근차근 추진할 것"이라며 "첫 번째 단계를 4주간 시행하고 방역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다음 단계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일상회복의 우선순위에서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방역조치 완화가 먼저 언급됐다. 김 총리는 "국민들께서는 백신접종 유무와 관계없이 수도권은 최대 10명, 비수도권은 12명까지 만남과 모임을 자유롭게 가질 수 있다"며 "앞으로 백신접종률이 더 높아지고 방역상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이런 제한까지도 해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총리는 "식당과 카페는 취식 과정에서 마스크를 벗는 등 방역에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마치지 않은 분들은 최대 4명까지만 자리를 함께하실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유흥시설이나 실내체육시설 등 위험도가 높은 시설의 경우 ‘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적용하고자 한다"며 "방역완화 조치로 이용객이 늘면 높아질 수밖에 없는 집단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다. 시설에 따라 1~2주의 계도기간을 둬 현장에서 혼선 없이 시행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다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