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이사(왼쪽 둘째)와 주요 경영진들이 경기도 동탄 소재 TES 이노베이션센터에서 '자율주행 이송로봇(AMR)'을 기반으로 한 '오더피킹 시스템' 시연을 보고 있다. [사진=CJ대한통운 제공]
“2023년까지 2조5000억원을 투자해 첨단기술과 최고 인재, 조직문화의 혁명적 변화를 통해 혁신기술기업으로 거듭나겠다.”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는 회사 창립 91주년을 하루 앞둔 14일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강 대표는 “과거 우리의 강점이었던 넓은 부지와 큰 창고, 경험 기반의 운영 능력은 당분간 시장에서 비교 우위를 지키는 데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미래에는 생존조차 보장받기 힘든 방식”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물류산업은 노동집약, 경험집약 구조에서 디지털집약 구조로 급변하고 있다”며 “미래 성장을 위한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최상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며, 트렌드를 읽고 변화를 선도하는 최고 인재를 통해 혁신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강 대표는 “CJ대한통운은 이제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사회 기반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이제는 첨단 물류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혁신기술기업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CJ대한통운은 2023년까지 2조5000억원을 투입해 신성장엔진인 이커머스·택배 플랫폼 확장, 로봇·인공지능(AI)·데이터 중심의 첨단기술 확보, 혁신성장을 위한 800명의 최고급 전문인력 등 최고 인재 확보와 조직문화 혁신 등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다.
특히 이커머스 핵심 거점과 풀필먼트 인프라를 현재의 8배 수준으로 확장한다. 택배사업은 소형상품 분류 설비인 멀티포인트(MP) 등을 통해 취급 능력을 높인다. CJ대한통운은 첨단기술 등 미래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와 전문 인재 확보로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기술기업으로의 변신에 가속도를 붙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는 로봇 기반 현장 자동화, AI·빅데이터 기반 운영 최적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시스템 등 12대 핵심 기술을 선정하고 기술 확보에서 상용화까지 세부일정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바 있다. 연구소 규모를 2배 이상 키우고, 회사 전체의 혁신성장을 위해 최고급 전문 인력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오픈 이노베이션 등 개방적 혁신을 통해 기술 스타트업과의 시너지 창출과 신기술 도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CJ대한통운은 조직문화를 혁명적으로 바꾸고 인사제도도 혁신적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7단계 이상 세분화된 직급 체계를 단순화하고 나이에 상관없이 역량만 있다면 조직을 이끄는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인사제도를 손질할 예정이다.
강 대표는 “CJ대한통운을 혁신기술기업으로 성장하게 만드는 핵심 동력은 최고 인재와 일류 문화”라며 “치열하고 역동적이며 응집력을 갖춘 조직 문화 혁명을 토대로 91살이지만 청년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들겠다”고 역설했다.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는 회사 창립 91주년을 하루 앞둔 14일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강 대표는 “과거 우리의 강점이었던 넓은 부지와 큰 창고, 경험 기반의 운영 능력은 당분간 시장에서 비교 우위를 지키는 데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미래에는 생존조차 보장받기 힘든 방식”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물류산업은 노동집약, 경험집약 구조에서 디지털집약 구조로 급변하고 있다”며 “미래 성장을 위한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고객에게 최상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며, 트렌드를 읽고 변화를 선도하는 최고 인재를 통해 혁신성장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J대한통운은 2023년까지 2조5000억원을 투입해 신성장엔진인 이커머스·택배 플랫폼 확장, 로봇·인공지능(AI)·데이터 중심의 첨단기술 확보, 혁신성장을 위한 800명의 최고급 전문인력 등 최고 인재 확보와 조직문화 혁신 등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다.
특히 이커머스 핵심 거점과 풀필먼트 인프라를 현재의 8배 수준으로 확장한다. 택배사업은 소형상품 분류 설비인 멀티포인트(MP) 등을 통해 취급 능력을 높인다. CJ대한통운은 첨단기술 등 미래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와 전문 인재 확보로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혁신기술기업으로의 변신에 가속도를 붙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는 로봇 기반 현장 자동화, AI·빅데이터 기반 운영 최적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반 시스템 등 12대 핵심 기술을 선정하고 기술 확보에서 상용화까지 세부일정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바 있다. 연구소 규모를 2배 이상 키우고, 회사 전체의 혁신성장을 위해 최고급 전문 인력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오픈 이노베이션 등 개방적 혁신을 통해 기술 스타트업과의 시너지 창출과 신기술 도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선다.
CJ대한통운은 조직문화를 혁명적으로 바꾸고 인사제도도 혁신적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7단계 이상 세분화된 직급 체계를 단순화하고 나이에 상관없이 역량만 있다면 조직을 이끄는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인사제도를 손질할 예정이다.
강 대표는 “CJ대한통운을 혁신기술기업으로 성장하게 만드는 핵심 동력은 최고 인재와 일류 문화”라며 “치열하고 역동적이며 응집력을 갖춘 조직 문화 혁명을 토대로 91살이지만 청년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들겠다”고 역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