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11/16/20211116140939753554.png)
HK이노엔 신약 '케이캡정'[사진=HK이노엔]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 880억원의 원외처방실적을 기록해 지난해 실적(761억원)을 넘어섰다고 16일 밝혔다.
전날 발표된 원외처방실적(유비스트)에 따르면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은 지난 한 달 98억9000만원의 원외처방실적을 기록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누적으로는 880억원이다.
HK이노엔에 따르면 케이캡정은 지난 2019년 대한민국 30호 신약으로 출시된 후 2년도 안돼 누적 1000억원을 돌파했다. 출시 이후부터 현재까지 케이캡정 하나로만 거둔 실적이 1950억원이다.
새로운 계열(P-CAB)의 신약인 케이캡정은 기존의 PPI 계열 제품보다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식전, 식후에 상관없이 복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지속성으로 밤 중에 위산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는 특장점이 있다고 HK이노엔 측이 설명했다.
HK이노엔은 최근 식약처에 케이캡 정제(알약)에 이어 구강붕해정 허가도 신청했다. 입에서 녹여 먹는 제형인 구강붕해청은 주로 알약을 삼키기 어려워하거나 물을 마실 수 없는 상황의 환자들에게 사용된다. HK이노엔은 내년 상반기 중 케이캡 구강붕해정이 본격적으로 출시되면 진출 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석희 HK이노엔 대표는 "케이캡정은 내년부터 중국 등 해외무대에서도 본격 활약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적응증 확대 연구, 차별화 임상, 다양한 제형 개발 등을 통해 블록버스터 신약 케이캡의 시장 지위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케이캡정은 현재 국내에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및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등 총 4개 적응증(사용범위)을 갖고 있다. 이 중 미란성,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에 이어 최근 위궤양까지 건강보험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