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03/20220103094539840232.jpg)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022년 신년사를 통해 올해 가능성을 고객의 일상으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3일 그룹 메타버스 플랫폼 라이브 스테이션을 통해 ‘2022년은 가능성을 고객의 일상으로 실현하는 한 해’라는 핵심 메시지의 신년사를 전했다.
정 회장은 “고객들이 가장 신뢰하고 만족하는 친환경 톱티어(Top Tier) 브랜드가 되기 위한 기반을 확실하게 다지겠다”면서 “다양한 모빌리티와 산업분야에 전기차와 수소를 동력원으로 활용하며, 그룹 전반에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한 ‘아이오닉5’, ‘EV6’, ‘GV60’을 출시했다. 올해는 ‘아이오닉6’, ‘GV70’ 전동화모델, ‘니로’ EV, EV6 고성능 모델 등을 출시해 고객 선택의 폭을 확장할 계획이다. 여기에 친환경차 대중화를 목적으로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해 충전 인프라 구축 등 전동화 생태계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정 회장은 “그룹이 추구하는 미래 최첨단 상품의 경쟁력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확보 여부에 달려있다”면서 “우수 인재가 있는 곳에 AI 연구소를 설치하고 관련 분야 역량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면서 개방형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교류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우리가 그동안 신성장 분야로 선정해 집중 육성하는 자율주행, 로보틱스, UAM 등 미래사업 영역에서 스마트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나갈 계획”이라며 “운전자 개입을 최소화한 레벨4 기술을 탑재한 다양한 시범 서비스를 선보이고, 2023년 양산 예정인 아이오닉5 기반의 자율주행 차량을 시험 주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인수한 보스턴다이내믹스를 통해서 서비스 로봇인 ‘스팟’을 올해 상용화한다. 물류 로봇인 ‘스트레치’도 시장에 선보여 로봇사업 확대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올해 CES 2022에서 현대차그룹의 로보틱스 역할과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정 회장은 2028년 이동의 영역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UAM을 ‘슈퍼널’이라는 브랜드로 상용화할 계획도 전했다. 슈퍼널은 ‘최상의 품질을 갖춘 천상의 모빌리티 솔루션’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지난해 미국 UAM 법인명을 슈퍼널로 확정했으며, 국내외에서 안전한 기체 개발과 UAM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정 회장은 품질과 안전을 위해 임직원들의 노력과 역량을 결집하길 당부했다. 그는 “전 그룹에 걸쳐 가장 기본이 되는 디테일한 품질 관리 및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임직원 한 분 한 분의 역량이 충분히 발휘되고 소통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가능성이 확장될 수 있는 기업문화를 조성해야 한다”면서 “일을 통해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며 경쟁력을 키워내고, 회사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환경과 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사회와 모범적 소통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우리와 함께하는 주주, 투자자, 지역사회, 고객들과 함께 더 발전된 방향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선순환 구조로 만들고, 환경보호와 산업 안전 분야에 대한 끝없는 투자와 노력으로 모범적인 사회적 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03/20220103094912613446.jpg)
1월 3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메타버스를 통해 신년사를 전했다. 사진은 현대차그룹 메타버스 모습. [사진=현대자동차그룹]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