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03/20220103140833908132.jpg)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1/03/20220103140856568408.jpg)
[사진=직방]
3일 직방이 자사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2년 주택시장'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1236명) 중 43.4%(537명)가 '하락'할 것으로 응답했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38.8%(479명)로 '하락'과 '상승'의 의견 차이가 5% 이내로 팽팽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방, 5대광역시에서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서울은 47.6%가 '하락', 33.8%가 '상승', 18.6%가 '보합'일 것으로 전망했다.
지방은 '하락'이 45.8%, '상승'이 37.3%, '보합' 16.9%로 응답했다. 반면 경기는 '상승'이 42.8%로 '하락'(41.5%)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도 '상승' 응답이 43.0%로 '하락'(38.3%)을 전망하는 응답보다 더 높았다.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 이유는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32.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담(24.2%)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18.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지속(6.5%) △대선·지방선거 공약(6.1%)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이유는 '신규 공급 물량 부족(22.5%)'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18.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14.2%) △대선, 지방선거 공약(11.3%) 등 순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는 이유로 30~40대는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각각 23.1%, 27.9%로 선택한 반면, 20대 이하는 '대선, 지방선거 공약'(21.7%)을 가장 큰 이유로 선택했다. 50대는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22.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지역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서울·경기·지방은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선택한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인천은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와 '대선, 지방선거 공약'을 많이 선택했다. 지방 5대광역시는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 전환' 비율이 가장 많았다.
전세가격은 전체 응답자 중 '상승' 예측 비율이 46%로 하락(30.6%)보다 높게 나타났다. 23.4%는 '보합'을 선택했다. 전 연령대에서 모두 상승 전망 비율이 높았고, 특히 30~40대에서 상승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 지역에서 상승 전망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경기(47.8%), 인천(46.7%), 서울(45.8%), 지방(45.8%), 지방 5대광역시(41.3%) 순으로 상승 응답 비율이 높았다.
전세가격 상승 이유로는 '전세공급(매물) 부족'(37.3%)이 가장 많았고, △매매가격 상승 부담으로 인한 전세 전환 수요 증가(22.0%)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매물이 출시되면서 임대료가 인상될 우려(17.9%) 등 순으로 응답했다.
상승 전망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전세 매물 부족과 매매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전세 수요 증가로 2022년에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택 월세가격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1.4%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하락' 응답은 18.9%, '보합'은 29.7%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에서 월세가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64.3%로 나타나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승 전망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상대적으로 월세가격 상승 응답 비율이 높았다. 경기(56.8%), 서울(51.3%), 인천(48.6%), 지방5대광역시(46.3%), 지방(46.2%) 순으로 '상승'을 전망하는 응답이 많았다.
주택 월세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35.7%가 '매매, 전세상승 부담으로 월세 전환 수요 증가' 때문으로 답했다.
이어 △전세 대출규제로 인한 월세 전환 수요 증가(23.1%) △보유세, 종부세 부담으로 인한 세부담 전가(16.5%) △월세 공급(매물) 부족(15.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설문 결과 '상승'과 '하락' 전망 의견 차이가 5% 이내로 팽팽한 만큼 올해 주택 매매가격은 예상하기 어려운 시장이 될 전망"이라며 "새로운 이슈인 대선, 지방선거 등 정책적인 변수에 따라서 매매시장이 유동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매매와 달리 전세와 월세가격은 매물 부족, 매매가격 상승부담으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의 이유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면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2년 연장했던 물건이 하반기에 나오면서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