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최상위권 조선사인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유럽 경쟁당국이 불승인할 것이라는 전망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양사의 주요 고객이 몰려 있는 유럽 지역이라 더욱 독과점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유럽 지역에서 불승인 결정이 내려지면 인수합병(M&A) 전체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업계 일각에서는 유럽 경쟁당국이 불승인이나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리는 즉시 한국조선해양이 아니라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AFP 등 주요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EU 경쟁당국이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불승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공식 발표는 오는 20일 전후로 예정돼 있으나 EU 경쟁당국이 이미 결론을 내렸다는 의미다.
조선과 항공 등 여러 국가에서 영업하는 기업은 M&A를 진행할 때 주요국 경쟁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19년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이 공식화된 이후 중국과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등 경쟁당국은 양사의 기업결합을 무조건 승인했다. 아직 승인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우리나라와 일본 경쟁당국은 EU의 결정 이후 결론을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EU 경쟁당국은 양사가 액화천연가스(LNG)선 건조시장에서 차지하는 합산 점유율이 60%를 넘어가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서 EU 경쟁당국은 한국조선해양에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를 매각하는 등 독과점 방지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조선해양은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 매각 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상 친환경 규제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LNG선 사업부를 매각한다면 핵심이 없는 M&A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이같이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조선업계에서는 M&A 실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조선업계 최고의 고객이 몰린 유럽 지역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업결합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는 시각이다.
실제 EU 등 특정 국가의 경쟁당국이 기업결합을 불허해도 양사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면 통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국가의 고객과 사업을 영위하기는 어려워진다.
문제는 EU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이다. 당장 선복량 기준으로 글로벌 최상위 5개 해운사 중 4곳(머스크·MSC·CMA CGM·하팍로이드)이 유럽에 소재해 있다. 이들은 매년 막대한 규모의 선박 건조를 발주하는 조선사의 가장 큰 고객으로 꼽힌다.
실제 공시를 집계해보면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들 측에서 4조7053억원 규모의 선박 건조 계약을 수주했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수주 총액인 13조927억원의 35% 이상이다.
인수자인 한국조선해양(자회사 포함)도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와 4조1648억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맺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수주 총액 19조5982억원의 21.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양사가 공시하지 않는 수주 계약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수주 계약 규모가 8조8701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정 때문에 업계에서는 EU 경쟁당국이 불승인 혹은 조건부 승인을 결정한다면 한국조선해양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라리 현재 M&A가 불발되고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에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EU에 대규모 해운사가 많기에 조선사 M&A 문제에 유독 까다롭게 심사하는 것 같다"며 "매년 20~35% 수주를 책임지는 유럽 지역 선주를 포기하면서 양사가 무리하게 합병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사실상 M&A에 사형선고가 내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유럽 지역에서 불승인 결정이 내려지면 인수합병(M&A) 전체를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업계 일각에서는 유럽 경쟁당국이 불승인이나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리는 즉시 한국조선해양이 아니라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AFP 등 주요 외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EU 경쟁당국이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불승인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공식 발표는 오는 20일 전후로 예정돼 있으나 EU 경쟁당국이 이미 결론을 내렸다는 의미다.
조선과 항공 등 여러 국가에서 영업하는 기업은 M&A를 진행할 때 주요국 경쟁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019년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이 공식화된 이후 중국과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등 경쟁당국은 양사의 기업결합을 무조건 승인했다. 아직 승인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우리나라와 일본 경쟁당국은 EU의 결정 이후 결론을 내릴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한국조선해양은 대우조선해양의 LNG선 사업부 매각 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해상 친환경 규제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LNG선 사업부를 매각한다면 핵심이 없는 M&A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이같이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조선업계에서는 M&A 실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조선업계 최고의 고객이 몰린 유럽 지역의 반대를 무릅쓰고 기업결합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는 시각이다.
실제 EU 등 특정 국가의 경쟁당국이 기업결합을 불허해도 양사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면 통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국가의 고객과 사업을 영위하기는 어려워진다.
문제는 EU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이다. 당장 선복량 기준으로 글로벌 최상위 5개 해운사 중 4곳(머스크·MSC·CMA CGM·하팍로이드)이 유럽에 소재해 있다. 이들은 매년 막대한 규모의 선박 건조를 발주하는 조선사의 가장 큰 고객으로 꼽힌다.
실제 공시를 집계해보면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들 측에서 4조7053억원 규모의 선박 건조 계약을 수주했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의 지난해 수주 총액인 13조927억원의 35% 이상이다.
인수자인 한국조선해양(자회사 포함)도 지난해 유럽 지역 선주와 4조1648억원 규모의 수주 계약을 맺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수주 총액 19조5982억원의 21.25%에 해당하는 규모다.
양사가 공시하지 않는 수주 계약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 수주 계약 규모가 8조8701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사정 때문에 업계에서는 EU 경쟁당국이 불승인 혹은 조건부 승인을 결정한다면 한국조선해양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차라리 현재 M&A가 불발되고 포스코나 한화, SM 등 별도의 대기업 그룹에서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EU에 대규모 해운사가 많기에 조선사 M&A 문제에 유독 까다롭게 심사하는 것 같다"며 "매년 20~35% 수주를 책임지는 유럽 지역 선주를 포기하면서 양사가 무리하게 합병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사실상 M&A에 사형선고가 내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