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15/20220215063041913240.jpg)
경기도청 전경 [사진=경기도]
도에 따르면 이는 2021년 5월부터 경기도정신건강복지센터의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대상 전화상담에 청소년 전문상담사를 갖춘 ‘경기도 청소년전화 1388’이 참여한 데 따른 조치이다.
전화상담은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입소 후 시행되는 정신건강 자가검진 결과, 정신건강 고위험군으로 상담이 필요한 청소년에게 지원하며 전화상담으로 심리상태를 확인하고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예정이다.
도는 또 생활치료센터를 퇴소하고 나서도 지속적인 상담이 필요할 경우 이용 가능한 도내 31개 시․군 청소년상담복지센터로 연계해 상담을 지속할 방침이다.
한편 도가 운영 지원하는 청소년전화 1388은 청소년의 일상적인 고민 상담부터 학업 중단,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가출 등 위기에 이르기까지 청소년이 고민하는 전 분야의 상담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청소년상담사 국가자격을 소지하거나 일정 기간 청소년상담복지 관련 실무경력을 갖춘 전문상담사가 365일 24시간 상담을 진행한다.
가정폭력으로 갈 곳이 없거나 구조가 필요한 경우 등 위기상황 시 긴급한 개입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청소년쉼터나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연계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