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이하 예술위)가 문학 창작생태계 개선을 위해 힘쓰고 있다.
에술위는 2월 24일 “국내에서 운영되는 다수의 문학상에 대한 실태조사를 위하여 2021년 8월 말부터 올해 초까지 약 4개월여에 걸쳐 ‘공정한 문학 창작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조사’(이하 문학상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라고 전했다.
문학 분야에서 창작자의 지속가능한 창작활동을 영위하기 위하여 공정한 문학생태계 조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0년 ‘문학 분야 불공정 관행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에 이어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문학상 실태조사 연구는 문학상 수상 관련 정책문건 분석, 문학 분야 전문가 서면면담 및 심층면접, 창작인과 출판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및 분석, 전문가 집단토론회 등으로 진행됐다.
연구보고서에서는 2021년 문학상 현황 자료수집 분석결과, 2018년 문학실태조사 보고서에서 448개로 조사한 국내 문학상 수가 2021년 현재 249개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2020년, 2021년에 운영한 353개의 문학상을 조사한 결과, 문학상은 문학단체를 중심으로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정부 및 지자체, 출판사와 함께 공동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2021년에 문학상을 운영한 249개 중 212개의 문학상에서는 심사 관련 기준 및 구성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음을 확인했다.
창작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총 264명의 응답자 중 문학 분야에 입문하게 된 경로는 신춘문예 당선이 59명(22.3%), 신인문학상 수상이 49명(18.6)%, 작품집 출간이 33명(12.5)%의 비율로 나타나며, 문학상의 지원 경험은 응답자의 202명(76.5%)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문학상이 ‘실질적 작가의 자격 관행처럼 인식되고 있다’는 응답이 81명(40.1%)로 가장 높았고, ‘공신력 있는 출판사에서 당선작을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55명(27.2%)의 비율로 나타나 문학상이 여전히 전통적인 작가로 인정을 받는 통로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학상 운영 주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문학상 운영의 목적은 ‘기성작가의 좋은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거나 신인작가 발굴’이 주요한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학상 심사방식은 ‘예심위원 위촉과 예심내용 공개 이후 본심 진행’이나 ‘편집부 자체 운영 예심제도’의 형식을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으며, 3심제가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하여 가장 시급한 문학상 제도 변화에 대해서는 ‘응모작 심사기준의 정확한 공지’가 가장 높았으며, ‘운영전반에 대한 개선 필요’,‘공모전 모집 방법’, ‘계약체결의 투명화 및 제도화’, ‘수상작 및 작가 처우’, ‘상금 지급 또는 수령방식의 변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전으로 문학상 제도의 개선에 시급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는 것으로 인식됐다.
연구보고서에서는 현재의 문학상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서 △문학상 작품선정, 심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심사위원 풀 공유하는 등 문학상 제도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설립 △소통 플랫폼 제공(예:불공정계약 접수) 등 불공정 사례 및 피해자 보호 지원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계약서 디지털화 등 온라인 기반 DB구축 △표절, 저작권 보호를 위한 문학인 대상 전수자료 조사를 통한 정기적 현황조사 등 몇 가지 개선점을 제안했다.
예술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문학 분야의 창작자와 출판사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표준계약서 사용에 대한 안내 및 설명회 개최를 비롯하여 창작자들을 대상으로 저작권 교육을 시행하는 등 문학 분야의 공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하여 출판계와 함께 노력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