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에너지 자국 우선주의 현상'이 짙어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궁지에 몰렸다. 러시아 등 에너지 부국의 자원 무기화에 대응할 만한 강력한 묘수가 필요한 시점이다.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은 올 하반기 들어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다. 지난달 LNG 현물 수입 가격은 톤(t)당 1034.75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7.7%나 올랐다. 역대 최고치인 지난 1월(1138.14원) 수준에 근접했다. 문제는 아직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점이다. 이번 달 LNG 가격이 더 크게 치솟아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된다.
대체재인 전력용 연료탄(호주 뉴캐슬산)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전력용 연료탄(호주 뉴캐슬산) 가격은 지난 26일 기준 톤(t)당 443.51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 5월 20일 톤(t)당 436.07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지 불과 3개월 만이다. 1년 전(174.74달러)과 비교하면 2.5배 상승했고 올해 초 대비로는 120.06% 뛰었다.
호주 뉴캐슬산 전력용 연료탄 가격은 국내 수입 석탄값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석탄 수입 가격이 오르면 석탄발전사 부담으로 이어진다. 지금 당장은 석탄 수급에 큰 문제가 없더라도 수입 가격 상승이 연료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러시아가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는 겨울을 앞두고 '자원 무기화'를 본격화하게 되면 LNG 가격이 더욱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가스를 무기로 앞세워 유럽을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다. 러시아 국영 가스 기업인 가스프롬 역시 시설 정비를 이유로 이달 31일부터 사흘간 독일로 가는 가스관(노드스트림1)에 대한 공급을 폐쇄한다고 밝혔다.
유럽 내에서 LNG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면 연쇄작용으로 전 세계 LNG 가격도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과 일본 다음으로 LNG 수입량 세계 3위인 한국이 입는 피해는 더욱 크다.
전문가들은 계속해서 치솟는 LNG 가격에 한국이 입는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원전) 비중을 늘려 LNG를 대체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원자력학회장)는 "가스 발전 대신 원자력 발전을 통해 LNG 소비를 조금씩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전 비중 확대로 LNG 수입량이 얼마만큼 줄어들지 가늠하긴 어렵지만, 분명히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10월 발표했던 23.9%에서 32.8%까지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는 "가스보일러를 기름보일러로 바꿀 수도 없어 LNG 가격이 비싸지면 그대로 돈을 더 많이 내는 수밖에 없다며 "가정·산업용 연료는 대체제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전력 생산용 LNG는 약간의 여유가 있다. 태양광, 풍력 에너지는 같이 줄이고, 원전과 석탄은 늘리는 방법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문재인 정부 때 세워놨던 원전 가동을 빨리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은 올 하반기 들어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다. 지난달 LNG 현물 수입 가격은 톤(t)당 1034.75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7.7%나 올랐다. 역대 최고치인 지난 1월(1138.14원) 수준에 근접했다. 문제는 아직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점이다. 이번 달 LNG 가격이 더 크게 치솟아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된다.
대체재인 전력용 연료탄(호주 뉴캐슬산) 가격도 덩달아 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전력용 연료탄(호주 뉴캐슬산) 가격은 지난 26일 기준 톤(t)당 443.51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 5월 20일 톤(t)당 436.07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지 불과 3개월 만이다. 1년 전(174.74달러)과 비교하면 2.5배 상승했고 올해 초 대비로는 120.06% 뛰었다.
호주 뉴캐슬산 전력용 연료탄 가격은 국내 수입 석탄값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석탄 수입 가격이 오르면 석탄발전사 부담으로 이어진다. 지금 당장은 석탄 수급에 큰 문제가 없더라도 수입 가격 상승이 연료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유럽 내에서 LNG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면 연쇄작용으로 전 세계 LNG 가격도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과 일본 다음으로 LNG 수입량 세계 3위인 한국이 입는 피해는 더욱 크다.
전문가들은 계속해서 치솟는 LNG 가격에 한국이 입는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원전) 비중을 늘려 LNG를 대체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원자력학회장)는 "가스 발전 대신 원자력 발전을 통해 LNG 소비를 조금씩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전 비중 확대로 LNG 수입량이 얼마만큼 줄어들지 가늠하긴 어렵지만, 분명히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정부는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10월 발표했던 23.9%에서 32.8%까지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는 "가스보일러를 기름보일러로 바꿀 수도 없어 LNG 가격이 비싸지면 그대로 돈을 더 많이 내는 수밖에 없다며 "가정·산업용 연료는 대체제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전력 생산용 LNG는 약간의 여유가 있다. 태양광, 풍력 에너지는 같이 줄이고, 원전과 석탄은 늘리는 방법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서는 문재인 정부 때 세워놨던 원전 가동을 빨리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