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19/20220919091239969592.jpg)
9월 19일 오전 강원 춘천시의 한 양돈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해 방역 당국 관계자가 입구를 통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는 19일 춘천시 돼지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해 초동 조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앞서 강원도 동물위생시험소는 돼지 폐사체를 발견한 농장주 신고를 접수하고 해당 농장의 시료를 정밀분석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됐다.
중수본은 확진 즉시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현장에 파견해 외부인과 가축·차량의 농장 출입통제, 소독 및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확진농가 반경 500m내 추가 돼지 농장 없으며 500m~3km 내 2호(6600마리), 3~10km 4호(1만4556마리)의 돼지농장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중수본은 방역대 내 농장과 역학농장 등 총 43개 농가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강원도 전체 돼지농장(200호)를 대상으로 임상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어 확진농가 발생으로 19일 오전 2시부터 20일 오전 2시까지 24시간 동안 강원도(철원 제외)의 돼지농장‧도축장‧사료공장‧출입차량‧관련 축산시설 등에 대해 일시이동중지명령(Standstill)을 발령했다.
다만 정부는 이번 확진농가 발생으로 돼지고기 수급에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통계청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 돼지 사육 마릿수는 1117만마리며, 이번 발생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 7000여마리는 전체 사육 마릿수의 0.06% 수준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