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량(누계)은 41만779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감소했다. 9월 한 달간 주택 거래량은 3만2403건으로 1년 전보다 60.3% 줄었다.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6만705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2% 감소했다. 지방은 25만737건으로 40.2% 줄어 수도권 감소 폭이 더 컸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24만3514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6% 감소했다. 아파트 외 주택 거래량은 17만4280건으로 35.5% 줄었다.
특히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856건에 그쳐 1년 새 77.9%나 줄었다. 이는 2006년 1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다. 올해 8월 907건에서 한 달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미분양 물량도 계속해서 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4만1604가구로 전월보다 27.1%(8882가구) 증가했다. 미분양이 이처럼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2015년 11월(전월 대비 54.3% 증가) 이후 6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9월 전국 미분양은 1년 전(1만3842가구)과 비교하면 3배 늘었고, 올해 초보다는 2배 가까이 많다.
수도권 미분양은 7813가구로 한 달 새 55.9%(2801가구) 늘었고, 지방 미분양은 3만3791가구로 21.9%(6081가구) 증가했다. 면적 85㎡를 초과한 중대형 미분양은 3704가구로 20.8%, 85㎡ 이하는 3만7900가구로 27.8% 증가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7189가구로 전월보다 1.9%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