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06/20221106153518119814.jpg)
지난 3일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항 여객선터미널 내 TV에 북한 미사일 관련 뉴스가 나오는 가운데 여행객이 TV 앞을 지나가고 있다. 이날도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최근 북방한계선(NLL) 이남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를 쏘아 올리는 등 연이은 무력 도발로 '제7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여기에 북한이 극히 이례적으로 중국 선박들이 몰려 있는 서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서 중국 측 우려에도 핵실험을 강행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기사에서 "올해 사상 최고의 열병식이 성대히 거행되고, 공화국 무력의 군사·기술적 강세와 실전 능력을 만천하에 각인시켰다"며 "우리 국가의 지위가 불가역적인 것으로 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대와 외세 의존은 망국의 길"이라며 "눈앞의 일시적인 난관에 겁을 먹고 남을 쳐다보거나 외자에 중독되기 시작하면 발전은 고사하고 피로써 쟁취한 혁명의 전취물마저도 졸지에 잃어버리게 된다"고 강변했다.
이는 자신들의 핵·미사일 기술이 충분히 고도화됐고 명실상부한 '핵보유국'이 됐음을 재차 주장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비핵화와 경제 발전을 맞바꾸지 않겠다는 뜻으로,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등 대화 제안에 거듭 선을 긋고 '자력갱생' 기조를 강조한 것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 5일 오전 평안북도 동림 일대에서 서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4발을 발사했다. 동림은 중국 단둥에서 고작 20여 ㎞ 떨어진 곳이며 지금까지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가 포착된 적이 한 번도 없는 지역이다.
한·미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Vigilant Storm)'에 대한 반발 성격이 강하지만 자칫 중국 선박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도발이기에 중국을 향해 불만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중국 국경에서 저렇게 쏜다는 것은 그만큼 북한이 지금 중국도 염두에 두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유엔(UN)총회 제1위원회(군축·국제안전 담당)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포괄적 핵실험 금지'를 촉구하는 결의안 52호를 채택했다. 중국 등 160개국이 찬성했고 러시아 등 9개국이 기권했다. 북한만 반대표를 던졌다.
중국 측 찬성은 북한 핵실험에 공개적으로 우려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중국은 북한의 '7차 핵실험'을 계기로 한·미·일 군사협력이 강화되고, 미군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수시로 전개되는 상황을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은 지난 3일 미국 워싱턴에서 제54차 한·미 안보협의회(SCM)을 열고 "필요에 따라 미국 전략자산을 적시적이고 조율된 방식으로 한반도에 전개하겠다"며 "한반도에 상시 배치하는 수준에 준하도록 운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기사에서 "올해 사상 최고의 열병식이 성대히 거행되고, 공화국 무력의 군사·기술적 강세와 실전 능력을 만천하에 각인시켰다"며 "우리 국가의 지위가 불가역적인 것으로 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대와 외세 의존은 망국의 길"이라며 "눈앞의 일시적인 난관에 겁을 먹고 남을 쳐다보거나 외자에 중독되기 시작하면 발전은 고사하고 피로써 쟁취한 혁명의 전취물마저도 졸지에 잃어버리게 된다"고 강변했다.
이는 자신들의 핵·미사일 기술이 충분히 고도화됐고 명실상부한 '핵보유국'이 됐음을 재차 주장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비핵화와 경제 발전을 맞바꾸지 않겠다는 뜻으로,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등 대화 제안에 거듭 선을 긋고 '자력갱생' 기조를 강조한 것이다.
한·미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Vigilant Storm)'에 대한 반발 성격이 강하지만 자칫 중국 선박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도발이기에 중국을 향해 불만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중국 국경에서 저렇게 쏜다는 것은 그만큼 북한이 지금 중국도 염두에 두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유엔(UN)총회 제1위원회(군축·국제안전 담당)는 지난달 28일(현지시간) '포괄적 핵실험 금지'를 촉구하는 결의안 52호를 채택했다. 중국 등 160개국이 찬성했고 러시아 등 9개국이 기권했다. 북한만 반대표를 던졌다.
중국 측 찬성은 북한 핵실험에 공개적으로 우려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중국은 북한의 '7차 핵실험'을 계기로 한·미·일 군사협력이 강화되고, 미군 전략자산이 한반도에 수시로 전개되는 상황을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은 지난 3일 미국 워싱턴에서 제54차 한·미 안보협의회(SCM)을 열고 "필요에 따라 미국 전략자산을 적시적이고 조율된 방식으로 한반도에 전개하겠다"며 "한반도에 상시 배치하는 수준에 준하도록 운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