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가입자 증가 폭이 8개월 연속 축소했다. 청년층 가입 역시 감소세를 이어갔다.
7일 고용노동부가 '2022년 10월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493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35만1000명(2.4%) 늘었다.
제조업 증가세와 비대면 수요 증가, 대면 서비스업 개선 등이 가입자 증가를 이끌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가입자 수는 보건복지(+7만9000명), 제조업(+7만2000명), 출판영상통신(+6만1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4만7000명) 등에서 특히 늘었다. 제조업은 지난해 1월 이후 22개월 연속 증가다.
다만 1년 전보다 늘어난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올해 2월 정점을 찍은 뒤 내림세로 돌아섰다. 지난 2월 56만5000명이던 증가자 수는 3월 55만7000명, 4월 55만6000명, 5월 52만2000명, 6월 47만5000명, 7월 43만1000명, 8월 42만7000명, 9월 37만8000명, 10월 35만1000명으로 계속 떨어졌다.
같은 기간 1년 전 대비 증감률도 4.0%→4.0%→3.9%→3.7%→3.5%→3.1%→2.9%→2.7%→2.5%로 하락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대했던 직접일자리사업 축소로 공공행정 감소 폭이 커지고, 교육서비스를 비롯해 협회·개인서비스업도 내림세로 전환한 탓으로 풀이된다.
연령대별로는 29세 이하 청년층 가입자 수가 10월 들어 1년 전보다 1만7000명 줄었다. 감소세가 이어지고 감소 폭도 커진 것이다. 지난 9월엔 9000명이 줄며 19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60세 이상 가입자 수는 1년 전보다 20만4000명 증가하며 전체 연령대 중에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달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구직급여(실업급여) 지급액은 8188억원으로 1년 전보다 689억원(7.8%) 줄었다. 건당 지급액은 약 141만원으로 1.1% 감소했다. 지난달 구직급여 수혜자는 1년 전보다 3만명(5.3%) 적은 53만5000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