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제조업체 사이에서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의 도입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6일 주요 중소 제조업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300인 미만 주요 제조업 기업 307개 사 대상이다.
내년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 확대 조치에 대해 ‘인력난 해소에 충분하다’는 응답이 55%, ‘인력난 해소를 위해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40.1%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내년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를 전년 대비 4만1000명 증가한 11만명으로 결정한 바 있다.
주요 제조업종별로는 ‘더 확대해야 한다’는 답변이 △자동차부품업 41.5% △조선업 41.0% △뿌리산업 7.6% 등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인 주요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 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 따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경총은 분석했다.
아울러 내년 외국인 근로자 신청 관련 절반가량의 기업이 계획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청 계획 있다’라는 응답이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이 29.0%, ‘신청 계획 없다’는 응답이 24.4%로 집계됐다.
임영태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최근 정부가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 가장 큰 규모인 11만명의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결정했지만,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라며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를 확대하거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6일 주요 중소 제조업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300인 미만 주요 제조업 기업 307개 사 대상이다.
내년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 확대 조치에 대해 ‘인력난 해소에 충분하다’는 응답이 55%, ‘인력난 해소를 위해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40.1%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내년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를 전년 대비 4만1000명 증가한 11만명으로 결정한 바 있다.
조사 대상인 주요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 부족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 따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경총은 분석했다.
아울러 내년 외국인 근로자 신청 관련 절반가량의 기업이 계획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청 계획 있다’라는 응답이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이 29.0%, ‘신청 계획 없다’는 응답이 24.4%로 집계됐다.
임영태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최근 정부가 고용허가제 시행 이후 가장 큰 규모인 11만명의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결정했지만,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난은 심각한 수준”이라며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를 확대하거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1/16/20221116153336205750.jpg)
한국경영자총협회 [사진=아주경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