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법원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김씨 명의의 수도권 부동산 총 47건이 지난 3월 이후 잇따라 경매로 넘겨졌다. 총 채권 청구액은 105억754만원이었다.
유형별로 소형 다세대주택(도시형생활주택 포함)이 24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피스텔(10건), 주상복합(8건), 상가(4건), 아파트(1건)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30건)이 전체의 64%를 차지했다. 금천구(11건)와 강서·송파구(각 4건) 물건이 많았으며 서울 외에는 경기도 수원·용인·광주·고양·오산, 인천 지역의 물건이 경매 시장에 나왔다.
대부분 임차인이 임대 계약 만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경매를 신청한 것으로, 금융기관 대출 등 선순위 채권은 거의 없었다. 대신 상당수는 김씨의 종합부동산세 체납 때문에 경기도 포천세무서에 압류된 상태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국세 체납일이 임차인의 확정일자보다 빠르면 경매 낙찰이 되더라도 국세가 보증금보다 우선 배당되기 때문에 세입자가 보증금을 다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며 “낙찰자 입장에서도 보증금 일부를 물어줘야 할 수 있어 낙찰을 꺼릴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유일하게 입찰에 들어간 경기도 광주시의 한 다세대주택은 지난 10월 경매가 진행됐지만, 새 주인을 찾지 못하고 두 차례 유찰됐다.
부동산 업계에선 최근 집값 하락 여파로 낙찰이 쉽지 않은 만큼 임차인이 보증금을 모두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빌라왕’ 사태 관련 피해자를 구제하기 위해 HUG의 대위변제 사전심사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통상 임차권 등기 이후 진행되는 대위변제 심사를 임차권 등기 전으로 앞당기는 것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진행된 전세보증금 피해 임차인 설명회에서 “기존에는 보증금 반환까지 몇 달 이상 걸리지만, 이를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전세금 반환보증에 가입하지 않은 임차인에게는 연 1%대로 가구당 최대 1억6000만원을 지원하고 경매 진행으로 머물 곳이 없는 이들에겐 HUG 강제관리 주택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매입임대주택 중 공실을 활용해 임시 거처를 제공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