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바이오로직스 시러큐스 공장 전경. [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러큐스 공장 인수를 완료한 롯데바이오로직스가 본격적인 사업 계획을 공개했다.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지난 10일(현지시간)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회사의 중장기 비전을 발표했다. 우선 2030년까지 총 30억 달러(약 3조원)를 투자해 3개의 메가 플랜트, 총 36만리터 항체 의약품 생산 규모를 구축한다.
지난 1일 인수 계약을 마친 시러큐스 공장은 항체 의약품 생산부터 화학 의약품 접합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시설로 전환해 북미 최고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 위탁생산 서비스센터로 육성할 계획이다. 미국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등 핵심 바이오 클러스터에 위탁개발(CDO) 시설 구축에도 나선다.
지난해 11월 신성장전략 'SKBS 3.0'을 발표한 SK바이오사이언스도 M&A 추진을 공식화했다. 지난 9일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대표이사 사장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최소 2건의 M&A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상장과 영업이익 등으로 확보한 1조5000억 원의 현금성자산을 기업 구매 또는 기술거래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안 사장은 "올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과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분야에서 각각 최소 1건 이상의 거래를 성사하는 것이 목표다"며 "mRNA 백신 분야에서는 초저온 보관과 같은 mRNA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백신 업체를, CGT 분야에서는 사업 확장에 도움이 될 생명공학 회사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신약 개발에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LG화학은 올해 1분기 안에 미국 항암제 신약개발업체 아베오 파마슈티컬스(아베오)를 인수할 예정이다.
LG화학은 지난 10월 5억6600만 달러(약 7000억원)에 신장암 표적 치료제 '포티브다'를 보유한 아베오 인수를 결정했다. 인수는 1월 중 마무리 될 전망이다. LG화학이 아베오를 인수하면 국내 기업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신약을 보유한 기업을 직접 인수하는 첫 사례가 된다.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지난해 매출은 약 7600억원 수준으로 아베오 인수로 1조원 클럽 진입이 유력하다.
업계 관계자는 "M&A를 비롯해 제약바이오 관련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며 "대기업의 경우 자금이 충분한 만큼 앞으로도 빠른 성과를 위해서 기술이전이나 M&A 등에 과감하게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