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관훈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K-POP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했다. K-POP을 리딩하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 선두 플레이어로 도약하기 위한 하이브의 경험과 노하우도 함께 공유했다.
방시혁 의장은 15일 오전 10시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K-POP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관훈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기조연설에는 K-POP의 현주소와 K-POP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먼저 방시혁 의장은 한 사람의 K-POP 산업 종사자로서 성취에 만족하기보다는 위기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K-POP이 글로벌 음악산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것은 사실이지만, 글로벌 3대 메이저 음악기업인 유니버설뮤직그룹, 소니뮤직그룹, 워너뮤직그룹 대비 K-POP 기업들의 글로벌 영향력이 아직은 미미하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미국 등의 주류 음악시장에서 K-POP의 성장률이 둔화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또 아직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일컬을 만한 기업이 부재한 것이 K-POP의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고 K-POP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도 및 영향력 높은 기업의 등장과 함께 ▲지속적인 슈퍼스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운영방식과 ▲슈퍼 플랫폼으로의 팬덤 플랫폼 진화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방시혁 의장은 K-POP이 지속 가능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IP 자체를 넘어 기업 단위로도 세계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 글로벌 음악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글로벌 유통사들을 상대로 한국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이 협상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지 기업들에 견줄 수 있는 규모의 경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의 글로벌 음악시장 진출 사례를 예시로 들었다. 하이브는 이타카 홀딩스, QC 미디어 홀딩스와 같은 미국 현지 음악 회사들을 인수하고, 유니버설뮤직그룹(UMG) 산하에 있는 게펜 레코드(Geffen Records)와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등 미국 음악시장 내에 강력한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구축하며 글로벌 음악시장 내에서 존재감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지속해 세계적인 슈퍼스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도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이와 같은 역량은 건강하고 효과적인 경영 방식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리에이티브가 공존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좋은 IP를 끊임없이 만들어 내는 문화를 회사 내에 정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브가 2018년부터 도입하고 있는 멀티 레이블 체제는 이와 같은 고도화된 운영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다. 크리에이터가 온전히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각 레이블의 제작 자율성을 확보해 주되, 회사 전체의 인프라와 네트워크, 트렌드 인사이트를 모든 레이블에 공유함으로써 시장의 변수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면서 성공을 재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이와 함께 잠재적인 팬덤을 찾고 넓혀가기 위한 플랫폼의 역할 강화 노력도 강조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팬과 아티스트가 소통하는 방식, 콘텐츠를 즐기는 방식이 팬덤 플랫폼을 통해 진화하고 있기에, 우리나라 음악 기업이 이를 리드해 나가야 한다는 측면에서다.
2019년 론칭한 글로벌 팬덤 플랫폼 위버스가 그 진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위버스는 기존에 없었던 팬덤 플랫폼이라는 영역을 세계시장에서 새롭게 만들어 리드하고 있는 동시에 커뮤니티-커머스-스트리밍 등의 여러 기능을 통합한 슈퍼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위버스는 팬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개개인의 필요에 맞춰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점진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K-POP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필요 사항으로 '사람'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존중과 성장을 최우선으로 하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자리 잡는 것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처우 개선의 필요성을 전했다.
끝으로 방시혁 의장은 "현재의 K-POP은 글로벌 대중문화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아가야 하는 시점에 있다. 국가대표 기업으로서 세계시장에서 영향력을 가지는 것, 글로벌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슈퍼 IP를 배출해 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기업 자체로의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하이브도 이와 같은 노력을 펼치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선두 플레이어로 도약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방시혁 의장은 15일 오전 10시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K-POP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관훈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기조연설에는 K-POP의 현주소와 K-POP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먼저 방시혁 의장은 한 사람의 K-POP 산업 종사자로서 성취에 만족하기보다는 위기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K-POP이 글로벌 음악산업의 한 축으로 자리 잡은 것은 사실이지만, 글로벌 3대 메이저 음악기업인 유니버설뮤직그룹, 소니뮤직그룹, 워너뮤직그룹 대비 K-POP 기업들의 글로벌 영향력이 아직은 미미하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미국 등의 주류 음악시장에서 K-POP의 성장률이 둔화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또 아직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일컬을 만한 기업이 부재한 것이 K-POP의 현실이라고 진단했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고 K-POP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지도 및 영향력 높은 기업의 등장과 함께 ▲지속적인 슈퍼스타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운영방식과 ▲슈퍼 플랫폼으로의 팬덤 플랫폼 진화가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방시혁 의장은 하이브의 글로벌 음악시장 진출 사례를 예시로 들었다. 하이브는 이타카 홀딩스, QC 미디어 홀딩스와 같은 미국 현지 음악 회사들을 인수하고, 유니버설뮤직그룹(UMG) 산하에 있는 게펜 레코드(Geffen Records)와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등 미국 음악시장 내에 강력한 네트워크와 인프라를 구축하며 글로벌 음악시장 내에서 존재감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지속해 세계적인 슈퍼스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도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이와 같은 역량은 건강하고 효과적인 경영 방식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리에이티브가 공존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의 고도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좋은 IP를 끊임없이 만들어 내는 문화를 회사 내에 정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브가 2018년부터 도입하고 있는 멀티 레이블 체제는 이와 같은 고도화된 운영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다. 크리에이터가 온전히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각 레이블의 제작 자율성을 확보해 주되, 회사 전체의 인프라와 네트워크, 트렌드 인사이트를 모든 레이블에 공유함으로써 시장의 변수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면서 성공을 재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이와 함께 잠재적인 팬덤을 찾고 넓혀가기 위한 플랫폼의 역할 강화 노력도 강조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팬과 아티스트가 소통하는 방식, 콘텐츠를 즐기는 방식이 팬덤 플랫폼을 통해 진화하고 있기에, 우리나라 음악 기업이 이를 리드해 나가야 한다는 측면에서다.
2019년 론칭한 글로벌 팬덤 플랫폼 위버스가 그 진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위버스는 기존에 없었던 팬덤 플랫폼이라는 영역을 세계시장에서 새롭게 만들어 리드하고 있는 동시에 커뮤니티-커머스-스트리밍 등의 여러 기능을 통합한 슈퍼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위버스는 팬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개개인의 필요에 맞춰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점진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K-POP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필요 사항으로 '사람'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존중과 성장을 최우선으로 하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시스템이 자리 잡는 것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처우 개선의 필요성을 전했다.
끝으로 방시혁 의장은 "현재의 K-POP은 글로벌 대중문화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아가야 하는 시점에 있다. 국가대표 기업으로서 세계시장에서 영향력을 가지는 것, 글로벌 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슈퍼 IP를 배출해 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기업 자체로의 지속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하이브도 이와 같은 노력을 펼치며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선두 플레이어로 도약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