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3%대에 진입한 지 7개월째를 맞은 가운데 기업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9일 고금리 지속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2개를 대상으로 했다. 응답 기업 66.3%는 적자를 내고 있거나 손익분기 상황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 3곳 중 2곳이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말이다.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해 ‘이익과 비용이 동일한 손익분기 상황’이라고 답한 기업이 31.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자로 전환된 상황(24.3%) △적자가 심화하고 있는 상황(11.0%) 등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이에 반해 수익을 꾸준히 창출하고 있다고 한 기업은 33.7%에 불과했다.
고금리 기조에 이미 기업이 감내 가능한 수준은 넘어섰다. 지난해 9월 대한상의 조사에서 수익 실현을 위해 기업은 기준금리 2.91% 수준을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준금리는 이를 0.6%포인트 초과하는 3.5%다. 3%대 기준금리가 지속된 건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또 3.5%를 기록한 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실제 현재 자금 사정을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 중 절반을 넘는 56.3%가 ‘고금리로 인해 작년보다 어려움이 심화했다’고 답했다. 또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은 29.3%였고 어려움이 없거나 자금 사정이 개선됐다고 한 기업은 각각 12.7%, 1.7%였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기업 지원 정책에 대한 현장의 체감은 높지 않았다. 응답 기업 중 60.7%가 “지원 제도 내용을 몰라 활용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지원 대책 효과가 낮은 이유로는 △지원 대책이 제한적(35.5%) △지원 대책에 대해 모르는 기업이 많음(28.7%)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지금과 같은 고금리 상황에서 가장 바라는 지원책으로 고금리 기조 전환(58.7%)을 꼽았다. 또 세제 지원 등 비용 절감책(26.0%), 대출 보증 지원 확대(8.7%),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6.6%) 등을 기대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무역적자가 13개월째 이어지는 가운데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하면 소비심리 둔화를 부추길 수 있다”며 “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득과 실을 면밀히 따져보고 내수 소비 진작과 경기 회복을 위한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신중한 금리 결정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9일 고금리 지속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2개를 대상으로 했다. 응답 기업 66.3%는 적자를 내고 있거나 손익분기 상황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 3곳 중 2곳이 수익성이 악화했다는 말이다.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해 ‘이익과 비용이 동일한 손익분기 상황’이라고 답한 기업이 31.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적자로 전환된 상황(24.3%) △적자가 심화하고 있는 상황(11.0%) 등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이에 반해 수익을 꾸준히 창출하고 있다고 한 기업은 33.7%에 불과했다.
고금리 기조에 이미 기업이 감내 가능한 수준은 넘어섰다. 지난해 9월 대한상의 조사에서 수익 실현을 위해 기업은 기준금리 2.91% 수준을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준금리는 이를 0.6%포인트 초과하는 3.5%다. 3%대 기준금리가 지속된 건 2012년 이후 10년 만이다. 또 3.5%를 기록한 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기업 지원 정책에 대한 현장의 체감은 높지 않았다. 응답 기업 중 60.7%가 “지원 제도 내용을 몰라 활용해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지원 대책 효과가 낮은 이유로는 △지원 대책이 제한적(35.5%) △지원 대책에 대해 모르는 기업이 많음(28.7%)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지금과 같은 고금리 상황에서 가장 바라는 지원책으로 고금리 기조 전환(58.7%)을 꼽았다. 또 세제 지원 등 비용 절감책(26.0%), 대출 보증 지원 확대(8.7%),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6.6%) 등을 기대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무역적자가 13개월째 이어지는 가운데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하면 소비심리 둔화를 부추길 수 있다”며 “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득과 실을 면밀히 따져보고 내수 소비 진작과 경기 회복을 위한 타이밍을 놓치지 않도록 신중한 금리 결정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사진=대한상공회의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