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에서 겨울철 조사료를 수확하고 있다.[사진=전라남도]
전라남도가 축산농가 조사료 공급에 팔을 걷어부쳤다.
국제 곡물가격이 오르면서 사료값도 오르자 국내산 조사료를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하는데 국비 357억 원 등 총 1070억 원을 투입한다고 19일 밝혔다.
전남지역 조사료 재배 면적은 6만ha로 전국의 36%를 차지한다.
조사료 사일리지 제조비는 6만ha에서 생산한 100만 톤의 조사료 제조비를 자가소비용과 유통판매용으로 구분해 지원한다.
자가소비용은 1ha당 동계는 114만 원(6만 3380원/톤), 하계는 221만 원(6만 3038원/톤)을 지원한다.
품질 등급제를 받은 유통판매용 조사료는 등급에 따라 1ha당 동계 86만 4000원에서 259만 2000원(4만 8000~14만 4000원/톤)을 차등 지원한다.

조사료 수확현장 [사진=전라남도]
또 전략작물직불제 시행에 따라 지난해 벼를 재배한 논에 하계 조사료를 재배하면 전략작물직불금 1ha당 430만 원을 지원하고, 수확에 필요한 사일리지 제조비 등으로 1ha당 221만 원 지원한다.
조사료 기계·장비사업을 통해 조사료 재배·수확에 필요한 트랙터, 결속기, 랩피복기 등 장비를 일반단지는 수확 면적 20ha 기준 1억 5000만 원, 전문단지는 70ha 기준 3억 원 등 조사료경영체에 142억 원을 지원한다.
국내산 조사료 이용 확대를 위해선 조사료 가공·유통시설 공모 사업에 선정된 담양축협, 고흥명품화사업단의 가공시설에 30억 원(보조 18억 원), 유통센터 시설에 9억 원(보조 5억 4000만 원)을 각각 지원한다.
전국 최초 저메탄 조사료 종합유통센터 지원사업에 선정된 함평축협엔 국비 54억 원을 포함한 180억 원을 지원해 올해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밖에 조사료 재배의 규모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조사료 전문단지 3개소 448ha를 추가 지정받아 총 1만 6400ha의 전문단지에 사일리지 제조·운송비, 기계·장비, 종자 및 퇴·액비 등에 국비 보조금을 일반지역보다 10∼20% 올려 일괄 지원한다.
박도환 전남도 축산정책과장은 “축산농가가 생산비를 줄여 경쟁력을 키우고 축산물 품질 고급화를 위해 품질 좋은 국내산 조사료를 더 많이 생산하고 많이 이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