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지난해 이어 올해도 세계 투자 감소 추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주혜 기자
입력 2023-07-10 15: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우크라이나 전쟁, 식품 및 에너지 가격 급등, 은행권 혼란 영향

  • 미국 1위, 중국 2위 등 기록

우크라이나 크라마토르스크 모습 사진AF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크라마토르스크 모습 [사진=AFP·연합뉴스]


유엔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전 세계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감소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식품 및 에너지 가격 급등, 은행권 위기 등 지난해 글로벌 경제를 강타한 지정학·경제적 리스크가 올해도 이어지면서 투자가 살아나기 힘들 것이란 예상이다.
 
지난 주 유엔개발회의(UNCTAD)가 발표한 ‘2023 세계 투자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제 프로젝트 금융 거래는 400건에 그쳤다. 지난해 분기별 평균치(641건)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국경 간 인수·합병(M&A) 활동도 지난해 분기별 평균치인 1941건을 밑돌았다.
 
보고서는 “지난해 투자 트렌드를 형성한 경제적 역풍은 다소 진정됐지만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니다”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등한 원자재 가격은 다소 진정됐지만 전쟁은 계속되고 있고, 지정학적 긴장도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해외 직접 투자 규모는 전년 대비 12% 줄어든 1조3000억 달러(약 1691조원)을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식품 및 에너지 가격 급등 등 글로벌 위기가 겹친 영향이라고 보고서는 짚었다.
 
선진국에 대한 해외 투자는 전년 대비 37% 급감한 37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 세계 1위 투자 유치국은 미국으로, 지난해 2850억 달러(약 370조원)를 유치했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직접 투자는 전년 대비 4% 늘어난 9160억 달러였다. 중국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1890억 달러(약 245조원)를 유치해 2위 투자 유치국이 됐다. 한국의 지난해 투자 유치 규모는 180억 달러(약 23조원)다.
 
2015년 파리 협정이 채택된 후 재생 에너지 투자가 약 3배로 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투자금은 선진국에 집중됐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전력망 등을 위해 매년 약 1조7000억 달러의 재생 에너지 투자가 필요하지만, 지난해에는 약 5440억 달러(약 708조)를 유치하는 데 그쳤다. 이마저도 브라질, 베트남, 칠레, 인도, 카자흐스탄, 대만, 인도네시아 등 10개국에 집중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