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6일 오전 서울 월드컵공원 내 평화광장서 열린 '2023 여성마라톤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비를 맞으며 달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여성의 우울증 발생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 총 39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자료를 활용해 유산소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과 우울증 발생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를 16일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고하는 '중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주당 150분 이상 실천하는 여성에서는 33%, 주당 300분 이상 실천하는 여성에서는 44% 우울증 발생 위험이 감소했다. 중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은 땀이 나거나 숨이 차지만, 다른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의 신체활동을 의미한다.
남성의 경우 신체활동과 우울증 발생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50~80대 성인으로, 주당 150분 이상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성 51%, 여성 42%였다. 주당 300분 이상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성 23%, 여성 16%였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우울증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 국민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 여성건강연구사업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공중보건 프론티어스(Frontiers in Public Health)’에 게재됐다.
질병관리청(질병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 총 39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자료를 활용해 유산소 신체활동 및 근력운동과 우울증 발생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를 16일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고하는 '중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주당 150분 이상 실천하는 여성에서는 33%, 주당 300분 이상 실천하는 여성에서는 44% 우울증 발생 위험이 감소했다. 중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은 땀이 나거나 숨이 차지만, 다른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의 신체활동을 의미한다.
남성의 경우 신체활동과 우울증 발생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우울증 뿐만 아니라 다양한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 국민의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 여성건강연구사업으로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공중보건 프론티어스(Frontiers in Public Health)’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