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매출 4368억원과 영업이익 444억원, 당기순이익 271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제주항공은 3분기 영업이익이 444억원으로 전년 동기(-606억원)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4368억원으로 전년 동기 1937억원 대비 125.5% 증가했다. 올해 1~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액 1조2289억원, 영업이익 1383억원, 당기순이익 952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항공은 이와 같은 최대 실적의 주요 요인으로 선제적인 재운항과 신규 취항을 통한 노선 다변화로 펜트업(pent-up, 억눌렸던 소비가 늘어나는 현상) 수요를 흡수한 점을 꼽았다. 올해 3분기 여객기 보유대수는 38대로 전년동기 37대대비 보유대수는 큰 차이가 없지만 국제선 노선수는 지난해 3분기 26개에서 올해 3분기 55개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시장 상황에 맞춰 수요가 높은 일본과 동남아 노선에 재운항과 증편을 통해 공급을 확대해 여행 수요를 흡수했으며, 중화권 노선 회복시기에 맞춰 7월 제주~마카오, 8월 제주~베이징 노선에 신규 취항한데 이어 9월 인천~홍콩·마카오 노선에 재운항을 시작하는 등 선제적인 노선 전략을 통해 수요 확보에 나섰다.
이 밖에 다양한 일본 소도시 신규 취향도 주효했다. 색다른 여행 경험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일본 현지 인바운드(외국인의 한국 여행) 여객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지난 7월 마쓰야마, 시즈오카, 오이타에 이어 일본 소도시 노선인 히로시마에를 신규 취항했다. 다양한 스케줄을 바탕으로 일본을 찾는 여행객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인근 취항 도시를 묶어 여행 일정을 구성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여행도 가능하게 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지속적인 노선 확대를 통해 제주항공을 이용하는 여행객들의 선택권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4분기에는 차세대 항공기(B737-8) 도입으로 공급을 더욱 확대하고 나아가 임차료, 정비비, 연료비 등을 절감해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항공은 3분기 영업이익이 444억원으로 전년 동기(-606억원)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4368억원으로 전년 동기 1937억원 대비 125.5% 증가했다. 올해 1~3분기 누적 실적은 매출액 1조2289억원, 영업이익 1383억원, 당기순이익 952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제주항공은 이와 같은 최대 실적의 주요 요인으로 선제적인 재운항과 신규 취항을 통한 노선 다변화로 펜트업(pent-up, 억눌렸던 소비가 늘어나는 현상) 수요를 흡수한 점을 꼽았다. 올해 3분기 여객기 보유대수는 38대로 전년동기 37대대비 보유대수는 큰 차이가 없지만 국제선 노선수는 지난해 3분기 26개에서 올해 3분기 55개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시장 상황에 맞춰 수요가 높은 일본과 동남아 노선에 재운항과 증편을 통해 공급을 확대해 여행 수요를 흡수했으며, 중화권 노선 회복시기에 맞춰 7월 제주~마카오, 8월 제주~베이징 노선에 신규 취항한데 이어 9월 인천~홍콩·마카오 노선에 재운항을 시작하는 등 선제적인 노선 전략을 통해 수요 확보에 나섰다.
이 밖에 다양한 일본 소도시 신규 취향도 주효했다. 색다른 여행 경험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일본 현지 인바운드(외국인의 한국 여행) 여객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지난 7월 마쓰야마, 시즈오카, 오이타에 이어 일본 소도시 노선인 히로시마에를 신규 취항했다. 다양한 스케줄을 바탕으로 일본을 찾는 여행객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인근 취항 도시를 묶어 여행 일정을 구성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여행도 가능하게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