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위원장은 18일 오후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PF대출 만기 집중에 따른 위기 가능성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대출 만기는 고르게 분산돼 있고, 급격한 충격 가능성도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단, PF사업장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연착륙과 질서있는 정리'의 일관된 정책목표를 가지고, 관계부처가 합심해 PF사업장의 정상화와 사업성 제고를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에는 금융당국과 기관·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한 가운데 저축은행중앙회, 여신금융협회, 상호금융(농협·신협·새마을금고) 중앙회 등 제2금융권 등도 함께 자리해 건전성 현황과 금융시장 주요 이슈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금융권 연체율 상승에 대해 코로나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이후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국내은행의 연체율은 지난 2022년 6월 0.20%에서 지난해 11월 0.46%로 상승했으며, 상호금융권에서도 2021년 12월 1.17%에서 지난해 9월 3.10%까지 올랐다. 향후 금융시장 안정과 더 나은 경제여건을 위해서는 △금리인상 자산가격 조정 △대출 증가율 하락 등의 정상화 과정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도한 우려 대신 긴 시계에서 연체율 흐름을 관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권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한 만큼, 금융시스템 안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참석자들은 지난해 2금융 영업실적이 과거 대비 다소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주로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충당금 적립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부동산 PF대출은 사업장별 'PF 대주단 협약' 추진과 한국자산관리공사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 업권별 자체 PF펀드, 경·공매 등 다양한 방식의 매각 등을 통해 질서 있게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지난해 이후 영업실적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저축은행 업권의 경우에도 모든 개별 저축은행이 규제비율 대비 3%포인트 수준을 상회하는 높은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또 대표적인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자본비율과, 예금 지급능력 등을 나타내는 유동성도 양호하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