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세계 공공부채 13경원…개발도상국 부채 급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주혜 기자
입력 2024-06-05 08:25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세계 공공부채 규모가 지난해 13경원에 달했다.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가 4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공공부채는 2022년보다 5.7%(5.6조 달러·7837조원) 증가한 97조 달러(13경3375조원)로 집계됐다.

    국가별 공공부채는 미국이 33조 달러(4경5375조원)로 가장 많았고, 중국(2경625조원)과 일본(1경4575조원)이 뒤를 이었다.

  • 글자크기 설정
  • 미국, 4경5375조원으로 부채 가장 많아

  • 개발도상국 부채액 비율 30% "의료·교육 지출 우려"

사진AFP 연합뉴스
[사진=AFP·연합뉴스]


세계 공공부채 규모가 지난해 13경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3분의 1은 개발도상국의 부채액이다.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가 4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공공부채는 2022년보다 5.7%(5.6조 달러·7837조원) 증가한 97조 달러(13경3375조원)로 집계됐다.
 
국가별 공공부채는 미국이 33조 달러(4경5375조원)로 가장 많았고, 중국(2경625조원)과 일본(1경4575조원)이 뒤를 이었다.
 
이집트와 멕시코, 브라질, 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공공부채는 29조 달러(3경9875조원)에 달했다.
 
전 세계적인 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 글로벌 공공부채액에 대한 이자 규모는 2년 전보다 26% 증가한 8470억 달러(1164조6000억여원)에 이른다. 
 
UNCTAD는 2010년과 비교할 때 세계 공공부채액 가운데 개발도상국 부채액의 비율이 16%에서 30%까지 증가한 점에 주목했다. 개도국이 불어난 부채를 갚느라 의료, 교육, 환경 등에 제대로 돈을 투입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UNCTAD는 "개도국은 부채 상환과 자국민을 위한 지출 등 두 가지 선택지 가운데 하나를 강요받고 있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며 "국제 금융구조는 인류와 지구 모두의 번영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바뀌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