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참전에 판 커지는 AI폰...점유율 1위 두고 삼성전자와 한판승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강일용 기자
입력 2024-06-10 16: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애플이 연례개발자행사 WWDC 2024에서 온 디바이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AI를 결합한 자체 AI 서비스 '애플 인텔리전스(가칭)'를 공개하며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AI폰 시장에 도전장을 낸다.

    하지만 현재 AI폰 시장 상황은 애플에 녹록지 않다.

    삼성전자가 구글과 파트너십을 맺고 AI폰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도 잇달아 새 AI폰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글자크기 설정
  • 오픈AI와 협력해 '애플 인텔리전스' 공개 전망

  • 생성AI 대비 못한 애플 시총·판매량 하락 위기

  • AI폰 시장 삼성전자가 선점..."AI가 폰 경쟁력 시대 온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애플이 연례개발자행사 WWDC 2024에서 온 디바이스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AI를 결합한 자체 AI 서비스 '애플 인텔리전스(가칭)'를 공개하며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AI폰 시장에 도전장을 낸다. 새 아이폰 출하량이 지속해서 감소하는 위기 상황에서 반등을 이끌어낼 묘수가 될 수 있을지 모바일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0일 모바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애플파크에서 WWDC 2024를 개최하고 생성 AI와 기존 모바일 운영체제를 결합한 신규 AI 서비스와 하드웨어를 대거 공개할 예정이다.

모바일 기기의 높은 수익성을 토대로 오랜 기간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자리를 고수하던 애플은 생성 AI 확산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며 오랜 경쟁자 마이크로소프트에 밀리고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시총 2위 자리를 두고 경쟁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애플은 WWDC에서 오픈AI와 파트너십을 발표하고 다양한 신규 AI 서비스를 선보이며 반격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 AI칩을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용 AI칩을 공개하며 사업 다각화도 꾀할 전망이다. 

애플은 중국 판매량 감소 등 여파로 올 1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감소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아이서플라이(IHS)에 따르면 올 하반기 애플의 새 스마트폰 아이폰16(가칭) 시리즈의 출하량은 전작 아이폰15 시리즈와 비교해 5% 감소할 전망이다. 스마트폰에 주력하는 애플에 역성장 위기가 닥친 것이다.

때문에 애플은 애플 인텔리전스를 포함해 이용자 지갑을 열 수 있는 '킬러 서비스'를 발굴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애플이 자체 개발한 온 디바이스 AI와 오픈AI 클라우드 AI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혼합) AI 서비스로 알려졌다. 자체 개발한 온 디바이스 AI와 구글의 클라우드 AI를 결합한 삼성전자 '갤럭시AI'와 결이 같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크게 네 가지 서비스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그동안 소외됐던 음성비서 '시리'의 인식능력과 답변능력을 오픈AI 기반 클라우드AI로 강화한다. 검색과 음성통역, 이미지 보정 등 온 디바이스 AI 기반 서비스도 추가한다. 챗GPT와 연동한 인터넷 검색 서비스가 추가될 가능성도 크다. 오픈AI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고 앱에서 바로 챗GPT 등을 이용하게 될 수도 있다. 

궈밍치 대만 TF인터내셔널증권 애널리스트는 "애플의 생성 AI 서비스는 사용자 경험(UX)은 애플이 맡고 생성 AI는 오픈AI가 맡는 구도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애플의 UX 노하우를 고려하면 아이폰 이용자에게 훌륭한 경험을 제공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재 AI폰 시장 상황은 애플에 녹록지 않다. 삼성전자가 구글과 파트너십을 맺고 AI폰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도 잇달아 새 AI폰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 1분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AI폰은 '갤럭시S24 울트라(30.1%)'로 집계됐다. 이어 '갤럭시S24(16.8%)'와 '갤럭시S24 플러스(11.5%)'가 2·3위를 기록했다. 샤오미, 비보, 오포, 아너 등 중국 제조사 AI폰 판매량을 모두 합쳐도 삼성전자 판매량에는 미치지 못했다. 

삼성전자 MX사업부는 기세를 몰아 신형 폴더블폰과 함께 신규 AI폰 기능을 대거 공개하며 '삼성전자=AI폰 리더'라는 인식에 쐐기를 박을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과거에는 운영체제 기능이 경쟁력이었다면 이제는 AI 기능과 서비스가 스마트폰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르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애플은 이번 WWDC에서 생성AI에 관한 강력한 비전을 반드시 공개해야 한다"며 "생성AI 관련 발표로 애플이 다른 기업에 빼앗겼던 주도권을 일부 되찾을 수는 있겠지만 (시장 상황이 전처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