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경쟁력=서울 경쟁력'...5년간 .6500억원 이상 투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두일 선임기자
입력 2024-06-18 11:25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대학이 보유한 미래 인재와 기술을 키우고, 대학을 서울의 미래를 이끌어 갈 가치 자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앞으로 5년간 65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이 계획은 '대학의 경쟁력이 서울의 경쟁력'이라며 이 비전 아래 대학의 인적·연구 자원을 발전시켜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서울을 '글로벌 톱5' 도시로 도약시킨다는 것이 핵심이다.

    '대학 경쟁력=서울 경쟁력'···인재 3200명 양성 오 시장은 이날 대학이 서울의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인적‧연구자원을 서울의 경제‧산업 정책과 연계해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대학의 자발적 혁신을 통해 글로벌 톱5 도시 도약을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글자크기 설정
  • 양재, 홍릉 AI·바이오 단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대학이 서울의 미래성장 동력이라며 앞으로 5년간 6500억원 이상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18일 "대학이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이라며 앞으로 5년간 6500억원 이상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대학이 보유한 미래 인재와 기술을 키우고, 대학을 서울의 미래를 이끌어 갈 가치 자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앞으로 5년간 65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또한 이공계 인적·기술 자원 육성을 위해 대학 공간에 대한 모든 규제를 풀어 주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대학의 경쟁력이 서울의 경쟁력'이라며 이 비전 아래 대학의 인적·연구 자원을 발전시켜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서울을 '글로벌 톱5' 도시로 도약시킨다는 것이 핵심이다.
■'대학 경쟁력=서울 경쟁력'···인재 3200명 양성
오 시장은 이날 대학이 서울의 미래 성장 동력이라며 인적‧연구자원을 서울의 경제‧산업 정책과 연계해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대학의 자발적 혁신을 통해 글로벌 톱5 도시 도약을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우선 2025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1300억원 이상, 5년간 6500억원 이상을 투입해 산학협력 강화, 미래 산업 인재 양성, 창업 활성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기술이전과 지식재산권 등 성과를 창출할 협력대학 12개교를 선정해 5년간 600억원을 투입한다.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비즈니스에 포커스를 맞춘 '본 글로벌(Born Global)' 창업기업도 60개 이상 배출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30개교를 선발해 시의 경제·산업전략과 연계한다.
대학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AI·바이오 분야 혁신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2곳을 선정하고 총 5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현재 양재와 홍릉 중심인 AI·바이오 허브를 서울 전역으로 넓힐 계획이다.
신기술 분야 내·외국인 인재 3200명도 양성한다.
교육부터 취업까지 연계하는 '미래 산업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20개교를 육성해 신기술 석사급 이상 인재 1000명을 배출하고, 이공계 분야 석·박사급 외국인 1000명도 유치한다. 
웹툰 등 K-콘텐츠 경쟁력을 높일 인재도 8개 대학에서 400명 키우고 뷰티·패션·기계·전자 등 기술 인재를 기르는 전문대 8곳을 선정해 800명을 양성하고 이 가운데 500명은 취업·창업까지 연계한다. 
■대학공간, 대폭 규제 완화···혁신캠퍼스 조성
오 시장은 이날 "시는 각 대학에 불필요하게 묶여 있는 각종 규제를 대폭 완화해 대학이 다양한 융·복합 연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미래 인재 육성과 창업에 필요한 공간을 신속하고 충분하게 공급해 '혁신캠퍼스'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앞서 용적률을 완화할 수 있는 '혁신성장구역'을 발표했다.
게다가 연내 조례를 개정해 대학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기존 200㎡당 1대에서 250㎡당 1대로 풀어주기로 했다.
공공·민간 기숙사를 늘리고 폐교나 미개설 학교 용지 등을 활용한 '행복기숙사' 건립을 추진한다.
또 대학 담장을 철거해 대학과 도시 사이 경계를 허문다.
방학에는 비어 있는 대학 기숙사를 해외 관광객에게 개방하는 '캠퍼스 스테이'도 도입한다. 
현재 대학 도시계획 혁신에는 총 10개 대학(고려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세종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성서대, 홍익대)이 참여해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오 시장은 "대학의 경쟁력은 서울의 경쟁력이자 대한민국의 경쟁력"이라며 "대학이 보유한 다양한 가치 자원을 서울의 성장판 확대 기반으로 삼고, 미래 혁신 성장의 거점인 대학과 함께 글로벌 톱5 도시 목표 달성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인 박상규 중앙대 총장을 비롯해 서울 시내 주요 대학 총장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